한국씨티은행이 소비자금융에서 손을 떼기로 한 가운데 향후 씨티은행의 출구전략에 대한 금융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씨티그룹은 지난 4월 15일 1분기 실적발표에서 “한국을 포함한 13개 국가의 소비자금융 사업에서 출구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4년 씨티그룹이 한미은행을 인수해 한국씨티은행으로 영업을 시작한 지 17년 만이다. 금융가에선 씨티은행의 소비자금융 부문 관련 통매각, 분리매각, 철수 등 3가지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가장 많이 거론되는 ‘분리 매각’ 방식은 자산관리(WM), 뱅킹, 신용카드 등 소비자금융사업 부문을 쪼개서 파는 것이다. 반면 일부에선 몸집 키우기에 나선 금융 지주사에서 개인금융 부문을 통째로 사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제는 매각 당사자인 씨티은행은 물론 거론되는 매수처의 인수 의지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증권가의 한 관계자는 “기존 지주사 중 씨티은행 소매금융을 통째로 사들일 곳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거론되는 OK금융그룹은 은행업 라이선스가 없다는 게 걸림돌”이라고 귀띔했다.
유명순 한국씨티은행 행장
900명이 넘는 소매금융 전담 직원들 문제도 있다. 상대적으로 고임금인 데다 인수 후 희망 명예퇴직금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씨티그룹이 철수 결정을 내린 이후 현재 한국씨티은행 노조는 고용안정 등의 이유로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노조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10년째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구조조정의 종착역”이라며 “소비자금융에 대한 매각 또는 철수 등 출구전략이 추진될 경우 대규모 실업사태가 발생하며, 고객에 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이 때문에 매각 대신 점진적으로 사업규모를 축소한 후 청산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온다. 인력을 점차 줄이면서 고객 자산은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방식이다. 이미 HSBC가 지난 2013년 소매금융 사업에서 철수할 당시 비슷한 방식을 쓴 전례가 있다.
씨티은행의 한 직원은 “매수에 적극적인 후보가 없다는 얘기가 파다하다. 인수 후 씨티은행의 인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있지만 ‘씨티’ 이름 없는 소매금융 사업을 인수한다는 게 얼마나 큰 시너지를 낼지 의문”이라며 “구체적인 철수 계획 등이 나오지 않아 당분간 이런저런 혼란이 이어질 것”이라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