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원의 클래식 포레스트] 드보르자크의 현악 세레나데를 들으며… 보헤미아에 진심이었던 위대한 촌사람의 음악
입력 : 2022.06.30 16:16:25
수정 : 2022.06.30 16:16:56
해마다 계절이 여름으로 접어들 무렵이면 통과의례처럼 꺼내 듣는 음악이 있다. 바로 드보르자크의 <현을 위한 세레나데>라는 곡인데, 한 번은 모 잡지사의 요청으로 ‘여름휴가지에서 듣고 싶은 음악’으로 추천한 적도 있다. 그토록 아끼는 곡이건만, 지난 2년 동안은 코로나 사태의 와중에 이 곡을 챙기는 것조차 잊고 살았다. 그런데 며칠 전 경기아트센터에서 특강을 진행하며 오랜만에 드보르자크에 관한 이야기를 하다가 이 곡이 생각났다. 관악기가 빠진 현악 앙상블을 위한 이 세레나데는 드보르자크가 남긴 가장 유려하고 사랑스러운 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통상 ‘세레나데’라고 하면 ‘저녁 무렵 연인의 창가에서 부르는 사랑노래’를 먼저 떠올리게 되지만, 한편으론 18세기 후반에 모차르트 등이 썼던 ‘다악장의 기악 앙상블 음악’을 가리키기도 한다. 드보르자크는 후자의 선례를 따랐고, 이 곡 외에 (이번에는 현악기가 빠진) 관악 앙상블을 위한 세레나데를 한 곡 더 남겼다.
오랜만에 <현을 위한 세레나데>에 귀를 기울여본다. 다섯 악장으로 구성된 이 곡은 고전적인 세레나데의 성격을 잘 살리고 있다. 진지하고 극적이기보다는 유쾌하고 느긋하며, 한가로운 여름날 저녁에 어울리는 은은한 분위기와 싱그러운 정취로 가득하다. 기본적으로 순수한 음률의 향연이지만, 동시에 사랑하는 이와 달빛 아래 정원에서 정담을 나누거나 오솔길을 거닐기라도 하듯 감미로운 기분을 자아낸다. 필자는 언젠가 체코 여행 중에 누볐던 보헤미아의 숲과 들을 떠올리기도 한다. 아울러 이 곡을 듣다 보면 음악의 안팎에서 우러나는 따스한 감수성, 소박하고 진솔한 인간미를 감지하며 궁금증이 일기도 한다. 드보르자크는 과연 어떤 사람이었기에 이런 음악을 쓸 수 있었던 걸까?
▶보헤미아 음악의 세계화
안토닌 드보르자크는 선배인 베드르지흐 스메타나와 더불어 19세기 후반(낭만주의 시대) 체코의 국민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독일 음악의 체계 위에서 보헤미아(체코의 서부) 민속음악의 요소들을 바탕으로 지역색이 선연한 개성적이고 매력적인 작품들을 양산해냈다. 그가 성숙기에 내놓은 작품들은 유럽의 변방이자 오스트리아의 속국이었던 체코의 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그중에서도 <슬라브 무곡집>, 교향곡 제9번 <신세계로부터>, 현악사중주 제12번 <아메리카>, <첼로 협주곡 B단조> 등은 특히 잘 알려진 명작들이다.
드보르자크는 순박한 촌사람이자 입지전적 인물이었다. 넬라호제베스라는 보헤미아의 시골마을에서 푸줏간집 장남으로 태어났고(1841년생), 처음에는 마을 악사에게 바이올린을 배웠다. 프라하에서 정식으로 음악을 공부한 뒤에도 한동안은 카페나 레스토랑의 악사, 가설극장 오케스트라의 비올라 주자, 개인 음악 레슨 등의 일을 닥치는 대로 하며 어렵게 살았다. 하지만 생활고에 시달리면서도 작곡가로 성공하겠다는 꿈을 버리지 않고 부단히 노력했고, <현을 위한 세레나데>를 쓴 1875년에 마침내 기회를 잡았다. 오스트리아 정부의 예술가 지원 공모전에 다수의 작품을 출품하여 당선되었던 것. 당시 심사위원 중 한 명이었던 요하네스 브람스가 그를 높이 평가하여 자신이 거래하는 출판사에 추천했고, 그 출판사에서 악보를 내기 시작하면서 드보르자크는 점점 유명해졌다. 특히 1878년에 내놓은 <슬라브 무곡집>의 대성공으로 그는 일약 ‘체코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부상했고, 이후 승승장구하며 독일어권을 넘어 멀리 영국과 미국에까지 명성을 떨치게 된다. 영국에서는 멘델스존 이후 가장 인기 있는 외국인 작곡가로 각광받았고, 미국에서는 뉴욕에 새로 설립된 ‘내셔널 음악원’의 초대 원장을 역임했다.
▶푸줏간집 장남, 작곡가를 꿈꾸다
드보르자크는 천부적인 멜로디메이커(선율 작가)였다. 낭만주의 시대 작곡가들 가운데 그만큼 매력적인 선율을 많이 써낸 작곡가는 슈베르트, 차이콥스키 정도를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렵다. 오죽하면 브람스는 ‘그가 쓰레기통에 버린 선율들만 모아도 교향곡 몇 편을 쓸 수 있다’고 했을까. 그런 그의 선율 감각은 아마도 그가 어려서 접했던 보헤미아의 민속음악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그것은 그의 음악에 등장하는 특징적인 리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그가 보헤미아의 민요나 춤곡을 직접적으로 차용하거나 모방한 적은 거의 없었고, 그의 음악은 언제나 독창적이었다. 그러면서도 그의 음악이 (선배인 스메타나의 그것보다 더) 진한 보헤미아적 색채를 띠고 있는 이유는 그 토속적 요소들이 무의식중에 그의 DNA에 새겨졌기 때문이리라.
아울러 그의 음악에서 느껴지는 풍부한 감수성과 인간미는 역시 그의 성품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투박한 인상에 곧잘 화를 내기는 했지만 근본적으로 상냥하고 친절하며 눈물이 많은 사람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고향 보헤미아의 풍물과 사람들을 진심으로 사랑했다. 그 깊고 뜨거운 애정과 향수는 유명한 <신세계 교향곡>의 느린 악장을 비롯한 그의 음악 도처에서 발견된다. 그런 그의 음악은 언제나 듣는 이의 가슴 깊이 스며들어 심금을 울리고, 인생사의 희로애락을 가장 순수하고 생생하게 느끼도록 해준다.
[황장원 음악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