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이 수신 잔액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새마을금고의 자금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수신 잔액은 4월 말 기준 258조2811억원으로 올해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새마을금고의 수신 잔액은 지난 2월 265조2700억원에서 3월(262조1427억원), 4월(258조2811억원) 등 매달 3조원이 넘는 금액이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새마을금고의 한 관계자는 “올해 초 고금리를 내세워 예금을 끌어들여 지난해 대비 14조원이 늘어났지만, 2월과 3월 두달 사이 늘려놓은 액수의 절반이 빠져나갔다”고 토로했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자금 이탈은 다른 조합의 수신 잔액이 늘고있는 것과 대비된다. 상호금융의 수신 잔액은 4월 말 기준 475조3615억원으로 전달(472조3636억원) 대비 2조9979억원이 증가했고, 신협의 경우 136조7913억원으로 전달 대비 3704억원 늘어났다. 이에 대해 금융가에선 지난 3월부터 불거진 새마을금고의 부실 위기 소문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부실 위기론’이 퍼지면서 금융소비자들 사이에서 불안심리가 확산됐기 때문. 앞서 관계자는 “통상 만기가 많이 돌아오는 4~5월에 예금을 다시 예치하는 고객들이 많은데,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불거지면서 이를 선택하지 않은 고객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저축은행들의 수신도 올 들어 지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 1월 120조7854억원에 달했던 수신 잔액은 2월(118조9529억원), 3월(116조431억원), 4월(114조6159억원) 등 월평균 2조565억원씩 감소했다.
[김병수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54호 (2023년 7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