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버스정보안내단말기를 마을버스정류소까지 확대 설치를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골목 곳곳을 잇는 교통수단으로 지역주민, 노약자 등이 많이 이용하는 만큼 약자와 함께하는 교통 정책을 실현하겠다는 취지다.
서울시는 버스정류소에서의 막연한 기다림을 해소해주는 버스정보안내단말기 ‘BIT(Bus Information Terminal)’를 지속해서 확대하며 교통복지를 실현해왔다.
작년 140대(신설30대, 교체110대)의 단말기를 설치하며 총 5697대를 운영 중으로, 시내버스 정보안내단말기 보급률은 85.42%에 달한다. 반면 시내버스 단말기와 달리 마을버스는 보급률이 16.8%에 불과하다.
올해부터는 기기 설치가 어려운 정류소와 노선이 적은 소규모 정류장에도 설치를 확대한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함께 마을버스정류소 200개소에 버스정보안내단말기를 늘릴 예정이다. 현재 16.8%(721대)인 마을버스 단말기 설치율을 25년까지 40%(1721대)로 높여 나갈 방침이다.
시는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 수준도 향상할 예정이다. 마을버스 도착정보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기존 40초에서 20초까지 단축하고, 우회, 돌발 안내 서비스 등 정보 제공 기능도 강화한다.
시내버스의 경우 데이터 수집 주기가 10초로 정확성이 매우 높지만, 마을버스의 경우 40초로 차이가 발생해왔다. 이번 신규 설치를 통해 도착정보 데이터를 시내버스에 가까운 수준으로 개선한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세계적 수준의 시스템을 구축한 시내버스 정류소처럼, 마을버스 정류소까지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생활 교통 기반 시설 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약자와 동행하는 교통 정책과 시정 철학을 실현할 수 있도록 보편적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