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Inside] 코나EV 화재, 전기차 시대 원년 앞둔 현대차 ‘옥의 티’
안재형 기자
입력 : 2020.10.27 09:42:05
수정 : 2020.10.27 14:30:20
현대차의 대표적인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EV)’의 화재가 업계 화두로 떠올랐다. 지난 2018년 3월 이후 올해만 7번, 현재까지 누적된 화재 사고가 14번이나 된다. 현대·기아차는 내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이 적용된 신형 전기차 출시를 앞두고 있다. E-GMP는 현대차그룹이 수천억원을 투자해 개발, 2025년까지 11개 모델에 적용될 플랫폼이다. 이른바 전기차 시대 개막의 시금석인 셈이다. 이런 와중에 브랜드를 대표하는 전기차 모델의 연이은 화재 사건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완성차 업계 일각에선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뢰도 하락이 더 큰 문제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현대차는 전 세계 총 7만7000여 대의 코나EV를 리콜할 계획을 세우며 조기 진화에 나섰다. 국내에선 10월 16일부터 자발적 리콜에 들어갔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업데이트와 점검 후 배터리 교체를 진행 중이다. 해외에서도 리콜 대상 차량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 뒤 배터리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교체해줄 방침이다. 하지만 화재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다는 게 문제다. 현대차와 국토교통부, 소방당국은 현재로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화재가 난 14대 차량이 모두 전소돼 제대로 된 증거를 찾기 어려웠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토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 등은 ‘전기차 배터리 불량’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있는 분리막이 손상돼 내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다. 하지만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이 반발하고 나섰다.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비절연냉각수, 코나EV 설계 결함 등 다른 가능성도 있다는 입장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코나 차주들은 이번 리콜이 BMS 업데이트가 전부라며 반발하고 있다. 배터리 교체는 점검 후 제한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전기차 동호회 카페를 중심으로 집단 소송 움직임도 불거졌다. 정확한 화재 원인은 올 연말 국토교통부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조사 결과 발표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와 LG화학은 글로벌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에서 선두경쟁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라며 “결론이 어떻게 나든 자칫 K브랜드에 타격이 올 수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