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시기에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기업은 ‘테슬라’다. 올 들어 주가가 230%나 급등한 테슬라는 세계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주식도 바로 테슬라다. 이러한 관심은 구매로 이어졌다. 올 상반기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수입 전기차는 단연 테슬라의 ‘모델3’였다. 그런데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광고가 광고법 등 현행법 위반에 해당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국내 시민단체인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광고가 과대광고라고 문제 삼아 관계부처가 대응에 나선 것이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측은 성명을 내고 “테슬라가 소비자들에게 마치 자동차가 자율로 운행하는 것처럼 착각하도록 과장 광고하고 있다”며 광고 중단을 요구했다.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기술이 핸들 조향 보조, 가속·제동 보조 수준에 그쳐 완전한 자율주행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독일에선 “관련된 용어의 사용이 실제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며 사용금지 판결을 내렸다. 국내 완성차 업계도 같은 의견이다. 한 완성차 업계 임원은 “현재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는 2단계 수준”이라며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기업의 도덕성을 의심할 만한 사건”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논란에 최근 차량 품질과 애프터서비스 등 인프라에 대한 불만도 불거졌다. 자동차 관련 SNS에 패널과 부품의 단차나 단차를 맞추기 위한 재조립 흔적들이 공유되며 차량의 완성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18년 국내에 진출한 테슬라의 공식서비스센터는 2곳에 불과하다. 그런 이유로 구매자들 사이에선 ‘사고 시 서너 달은 기본’이란 말이 돌기도 한다. 이러한 의견을 의식한 듯 테슬라코리아는 지난 5월부터 수도권의 일부 수입차 업체 서비스센터와 제휴해 사고수리 중 외장수리를 전담하는 ‘인증바디샵’을 운영하고 있다. 연말까지 전국에 총 7곳을 운영할 계획이다. 한 수입차 기업 임원은 “국내 판매량이 1만 대를 넘어서며 국내 진출 초기와 달리 서서히 약점들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신드롬을 낳았던 디자인이나 판매방식 등의 요인은 품질 앞에서 모두 약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테슬라는 미국시장조사 업체 JD 파워의 ‘미국 내 2020 신차품질조사(IQS)’에서 총 32개 업체 중 꼴찌를 기록했다.
[안재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