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Letter] 도대체 메타버스가 뭔가요?
-
김병수 기자
-
입력 : 2021.06.25 16:37:55
수정 : 2021.06.25 16:38:08
최근 메타버스(가상세계) 플랫폼인 로블록스에서 구찌가 내놓은 디지털 전용 가방이 4000달러 이상의 가격에 판매돼 화제입니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가 로블록스에서 한정판으로 내놓은 ‘구찌 퀸 비 디오니소스’ 가방이 35만로벅스(로블록스에만 통용되는 화폐)에 팔렸는데, 가격이 4115달러(약 465만원)였습니다. 이는 실제 구찌 매장에서 판매되는 해당 가방보다 더 비싸게 팔린 셈이죠. 이게 도대체 어떤 상황인지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를 위해선 메타버스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메타버스(Metaverse)란 웹상에서 가상의 인물, 즉 아바타를 이용해 사회, 경제, 문화적 활동을 하는 세계관을 뜻합니다. 가상세상인 만큼 가상인물이, 가상통화를 이용해, 가상의 집에서 생활하고, 가상의 직장을 다니는 등 모든 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것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현실세계 모임과 같은 다양한 교류활동이나 공간이 가상세계로 옮겨가고, 가상세계에서 이뤄진 경제활동이 현실에서 수익으로 이어지는 식이죠.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흐름 속에 마케팅, 교육, 게임 등 콘텐츠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로블록스, 제페토, 포트나이트 등 주요 메타버스 서비스 가입자는 각각 2억~3억 명에 이릅니다.
MZ세대가 메타버스에 열광하자 기업들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페이스북, 텐센트 등은 각자의 방식으로 관련투자와 연구를 이어가고 있죠.
일부 기업들은 브랜드 프로모션에도 메타버스를 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구찌, 루이비통, 나이키 같은 패션 브랜드는 물론 엔터테인먼트 회사, LG전자와 디즈니까지 자신의 지적재산권(IP)으로 메타버스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하는 양상입니다.
<매경LUXMEN>에서 메타버스를 7월호 커버스토리로 다룬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한편에선 무궁무진한 성장을 얘기하지만 아직 기성세대나 여기에 익숙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커버스토리에선 메타버스의 개념과 활용, 암호화폐·NFT(대체불가능토큰)와의 관계, 관련 기업 주식 등을 총정리했습니다.
이탈리아의 럭셔리 브랜드 ‘구찌(Gucci)’가 지난 5월 29일 서울 한남동에 새로운 플래그십 스토어 ‘구찌 가옥(GUCCI GAOK)’을 개장했습니다. 이곳은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은 구찌의 국내 두 번째 매장이자 서울 강북 지역의 첫 플래그십 스토어죠. 1998년 청담동에 국내 1호 매장을 연 이후 23년 만에 마련한 단독 매장이기도 한데요. 청담동 매장은 리뉴얼 공사를 앞두고 있어 당분간은 한남동 매장이 국내에서 운영되는 유일한 구찌 매장이 될 예정입니다. 구찌가 강북 한남동을 선택한 배경은 무엇일까요. 명품업계에선 ‘강남=청담, 강북=한남’이라는 공식이 굳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는데요. 최근 가장 핫(Hot)하다는 명품업계의 변화상을 다뤄봤습니다.
MZ세대는 명실공이 재테크 시장의 신주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주식 투자를 하는 MZ세대는 총 315만7000명으로, 전년(155만3000명)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급증했는데요. 특히 주식 시장뿐 아니라 코인, 미술, 부동산 등 다양한 시장에 뛰어들고 있죠. 경제력을 갖춘 젊은 금수저층에 국한된 이야기도 아닙니다. 이른바 ‘조각투자’라는 플랫폼을 통해 투자를 하는 게 유행인데요. 소액으로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해외 관광 재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죠. 정부는 7월부터 괌, 사이판, 태국, 싱가포르, 대만 등을 대상으로 소위 ‘트래블 버블’을 실시, 해외 관광의 문을 열어줄 계획인데요. 한 가지의 주목할 것은 트래블 버블 국가라고 하더라도 해당 여행지의 모든 것을 둘러볼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매경LUXMEN>에서 태국, 대만, 싱가포르, 괌 등을 미리 가봤습니다.
[김병수 매경LUXMEN 취재부장]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0호 (2021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