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자 손님이 나이 든 식당 여종업원을 향해 ‘이모’라고 부르는 것은 마땅하지는 않지만 아주 이상해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이 든 남자 손님이 젊은 여자 종업원을 향해 ‘언니’라고 부르는 것은 마땅하지도 않거니와 아주 많이 이상해 보인다. 젊은 여성들이 남자 친구를 오빠라고 호칭하는 것은 이제 관용어가 된 듯하지만, 그 여성의 친구들까지 그 남자(그러니까 자기 친구의 남자친구)를 오빠라고 부르는 것은 어떤가.
이모나 언니나 오빠는 매우 가까운 가족 관계에서 쓰이는 호칭이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모가 아닌 사람을 이모라고 부르고 언니나 오빠가 아닌 사람을 언니, 오빠라고 부르는 것일까. 이렇게 호칭하는 것은 모든 관계의 사람들을 가족화, 내지는 친척화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을 가족으로 여긴다는 것이 가능할까. 아니, 바람직하긴 한 것일까.
사회생활을 하면서 상대방을 어떻게 부를까 하는 것은 은근히 신경 쓰이는 문제다. 호칭에는 부르는 사람과 불리는 사람 사이의 사회적, 정서적 관계가 단순하고 투박하지만 가장 포괄적이고 상징적인 방식으로 표출돼 있기 때문이다. 친소관계는 물론 나이와 직위, 성별, 서열, 호감의 정도까지 다양하고 미묘한, 더러는 주관적인 정보들이 반영되는 것이 호칭이다. 어떤 사람은 만나자마자 형이라고 불러 친근감을 드러내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몇 년을 만나도 깍듯이 누구누구 씨나 누구누구 선생님이라고 불러 예의를 차린다. ‘형’은 친근감을, ‘씨’나 ‘선생님’은 예의를 지시한다고 말해 버렸는데, 사실 꼭 그렇게 단정할 수는 없다. ‘형’이라고 부른다고 다 친근한 것은 아니고 ‘씨’나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쓴다고 해서 다 깍듯하다고 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표면상으로는 어쨌든 ‘형’이라고 부르면 친근감이 느껴지고 ‘씨’나 ‘선생님’이라고 부르면 예의가 전해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호칭을 선택할 때, 그것이 비록 무의식적이라고 하더라도, 친근감을 전하려는 의도나 예의를 표시하려는 의도가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형’이라는 호칭에는 친근감이 아니라 친근감을 전하려는 발화자의 의도가 들어 있는 셈이다. 물론 각자의 기질이나 자라난 환경에 따라 선호하거나 기피하는 호칭이 있다는 사실은 염두에 둬야 한다.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호칭에 상대방을 향한 발화자의 무의식적인 욕구가 들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 가족 호칭의 일반화에 어떤 동기들이 작용하고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 자기 남편을 ‘우리 오빠’라고 호칭하는 한국 여자를 서양 사람들은 결코 이해하지 못한다. 오빠와 결혼했다는 소리로 알고 경악할 것이다. 왜 우리는 우리가 만나는 사람을 가족화 하려고 하는 걸까. 가족으로 만들어야 안심이 되기 때문이 아닐까. 타인을 가족으로 묶어둠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안도감과 이득이 유독 형이나 언니, 오빠에 집착하게 하는 것이 아닐까.
가족화 호칭을 통해 얻을 것으로 기대되는 효과로 엉기기와 누르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족은 모든 것이 용납되는 관계라는 관념이 우리에게는 있다. 가족은 논리와 계산이 아니라 감정과 핏줄이 지배하는 곳이다. 응석부리고 떼쓰고 엉겨 붙어도 되는, 혹은 어떤 점에서는 그래야 하는 공간이다. 그러지 않으면 가족 같지 않다고 여기기까지 한다. 사회의 문제를 응석부리고 떼쓰고 엉겨 붙어서 해결하려 하면 안 된다. 그런데 우리에게는 ‘우리가 남이가’식으로 사회 문제를 형, 삼촌, 언니, 오빠를 내세워 얼렁뚱땅 해결하려는 경향에 꽤 관대하다. 원칙과 논리가 사라진 자리에 혈연과 지연을 비롯해 온갖 연을 앞세운 뒷거래가 성행한다.
조폭 집단의 ‘형님’ 문화를 떠올리면 가족화 호칭의 다른 효과인 누르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족은 모든 것이 용납되는 관계라는 관념은 응석부리고 떼쓰고 엉겨 붙게 할 뿐 아니라 심리적, 언어적, 물리적 폭력에 대해 상당히 느슨한 경계심을 갖게 한다. 아버지는 때릴 수 있고 형은 야단칠 수 있다. 왜? 아버지고 형이니까. 아버지로 불리고 형으로 불리니까. ‘내 자식처럼 가르치겠습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건 학원에 절대로 가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어느 중학생의 말이 의미심장하다. 가족화 호칭 선호 현상이 그 지점을 겨냥하고 있지 않다고 누가 말할 수 있는가. 데이트 폭력의 문제는 오빠와 여동생(으로 불리는) 사이의 문제가 아닌가.
지난 달 북경에서 열린 동아시아문학포럼에서 중국의 문학평론가인 리징저가 발표한 원고를 읽어보니 자본주의와 상업주의가 빠르게 퍼져나가는 중국에서도 이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는 모양이다. 중국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는 판매자가 고객을 ‘친(親)’이라고 칭한다고 하는데 십 수 년 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었다고 한다. 왜냐하면 이 호칭은 제일 친한 사람, 예컨대 연인이나 부모자식 사이에서만 사용가능한 어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현장의 한국어 통역자는 이 ‘親’을 ‘자기’라고 통역했다. 요즘은 세무서가 납세자에게 그럴 뿐 아니라 심지어 경찰이 탈주범을 향해 ‘親’이라고 칭하는 등 남용되고 있는 사례를 열거했다. 리징저의 해석이 흥미롭다.
“우리가 가정 관계, 사적 관계에서만 쓸 수 있는 호칭을 사회의 공공 영역에서 대대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때, 비록 그 목적은 ‘교제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일 수 있겠지만, 다른 한 면으로는 사회관계의 취약함과 공공적 교제의 규범화, 안정화가 결여된 현실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교제 원가 절감을 위해 사회관계의 규범적 성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교훈이다.
이승우 작가 1959년 전라남도 장흥에서 태어났다. 1981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에리직톤의 초상>이 당선되며 등단했고, 소설집 <구평목씨의 바퀴벌레>, <일식에 대하여>, <미궁에 대한 추측>, <목련공원>, <사람들은 자기 집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른다>, <오래된 일기>, 장편소설 <내 안에 또 누가 있나>, <식물들의 사생활>, <생의 이면>, <그곳이 어디든>, <한낮의 시선>, <지상의 노래> 등을 발표했다. 대산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59호 (2015년 08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