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해봤는데 재미있어요.”
지난 7월 13일 영국 남부의 웨스트서식스주 굿우드에서 개최된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 참석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아이오닉 5 N’을 소개하며 던진 일성이다. 정 회장은 “전기차 퍼포먼스를 좀 더 강화했고 레이싱카 엔진소리도 들을 수 있도록 해 운전을 재밌게 한 차”라고 부연했다. 이날 전 세계에 첫선을 보인 아이오닉 5 N은 ‘N’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이자 현대차의 핵심 전동화 전략인 ‘현대 모터 웨이’의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고성능 사륜구동 시스템을 바탕으로 전·후륜 모터 합산 478㎾(650마력·부스트 모드 기준)의 최고 출력과 770Nm(78.5㎏f·m, 부스트 모드 기준)의 최대 토크를 발휘한다. 핵심 동력인 84㎾h의 고출력 배터리에 고성능 EV 특화 열 관리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N 전용 기술들이 적용돼 레이싱카 버금가는 주행성능을 갖췄다. 국내 공개 이후 ‘일상의 전기차’ ‘정의선의 야심작’이란 말이 나온 이유다. 이 차를 기점으로 현대차의 고성능 브랜드 N은 전기차 시장에도 첫발을 내딛게 됐다.
2015년에 출범해 2017년 첫 모델인 ‘i30 N’을 출시했으니 8년 만에 새로운 장을 연 셈이다. 정 회장과 함께 굿우드 페스티벌에 참석한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고성능 브랜드 N은 현대차 기술력의 중심으로 현대차 전체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며 “N브랜드의 기술력과 모터스포츠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아이오닉 5 N은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현대차의 유산을 계승하며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바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5 N에 ‘전륜 스트럿 링’ ‘서브프레임 스테이’ 등을 적용해 차체 강성을 강화했다. 후륜 휠하우스 안쪽의 차체를 보강해 기존 아이오닉 5와 비교해 비틀림 강성을 11%나 높였다. 여기에 현대차 최초로 전동화 시스템(Power Electric)에 노면의 충격과 움직임 저감 효과를 내는 하이드로 마운트를 적용, 주행 중 진동을 줄이고 안정적인 핸들링 성능을 확보했다. 캠페인 영상 속 아이오닉 5 N이 도심 도로를 드리프트하며 달릴 수 있는 건 바로 이러한 성능 덕분이다. 400V·800V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이 적용돼 800V 초급속 충전 인프라는 물론 일반 400V 충전기 사용도 가능하며, 800V 충전 시 18분 만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현대차에 N이 있다면 BMW에는 M이 있다. 지난해 설립 50주년을 맞은 BMW M은 BMW의 자회사이자 스포츠카 이상의 고성능 버전에 부여되는 고유 모델이다. 최근 출시된 콤팩트 쿠페 ‘뉴 M2’는 2011년에 첫선을 보인 ‘1M’ 쿠페의 2세대 완전변경 모델이다. M3와 M4에도 탑재된 후륜구동 기반의 M 트윈파워터보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돼 이전 모델보다 무려 50마력 증가한 460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한다. 제로백은 단 4.1초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근육질이 연상되는 외모와 작은 크기, 매끈한 쿠페 실루엣이 도드라진다. 바(Bar) 형태로 마감된 프레임리스 BMW 키드니 그릴로 완성된 첫인상은 그동안 익숙했던 모습과는 전혀 다르다.
실내에도 BMW M 특유의 모터스포츠 감성이 반영됐다. 대시보드와 도어 패널, 센터 콘솔 등 곳곳에 M카본 파이버 인테리어 트림이 장착됐고 M 스포츠 시트, M 시트 벨트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트랙 주행을 고려해 앞바퀴는 19인치, 뒷바퀴에는 20인치 M 경합금 휠이 장착돼 민첩한 핸들링과 구동력을 뒷받침한다. 운전자 보조시스템과 편의 사양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 중 하나.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함께 전면 충돌 경고 기능, 보행자 경고, 차선 이탈 경고 기능이 포함된 ‘드라이빙 어시스턴트’와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파킹 어시스턴트’ 등 첨단 기능이 기본 탑재됐다. 가격은 8990만원이다.
‘아우디 Q3 40 TFSI 콰트로(Audi Q3 40 TFSI Quattro)’는 작지만 탄탄하고 실용적인 준중형 SUV다. 폭스바겐그룹의 MQB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기본형과 콰트로 프리미엄 등 2가지 트림을 갖추고 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이전 모델보다 77㎜나 길어진 휠베이스와 최대 1525ℓ까지 늘릴 수 있는 트렁크, 전면부에 적용된 팔각형의 대형 싱글프레임 그릴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만큼 아우디의 최신 디자인 트렌드와 공간 확장성이 적용됐다. 파워트레인은 2ℓ TFSI 엔진과 7단 S트로닉 자동 변속기, 여기에 아우디의 상시 사륜구동 시스템인 콰트로가 장착돼 최고출력 186마력, 제로백 8.6초, 최고속도 210㎞/h의 퍼포먼스와 9.9㎞/ℓ(도심 8.8㎞/ℓ, 고속도로 11.7㎞/ℓ)라는 효율적인 복합연비를 확보했다.
초음파 센서로 차량과 물체의 거리를 측정해 MMI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주는 ‘전·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과 앞차의 위험한 주행 상황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경고한 후 감속을 돕는 ‘프리센스 프론트’ 등 다양한 안전·편의 사양도 눈에 띈다. 특히 콰트로 프리미엄 트림에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사이드 어시스트’ ‘파크 어시스트’ 등의 기능이 추가로 탑재됐다. 가격은 기본형이 5067만8000원, 콰트로 프리미엄 5546만6000원이다.
모닝은 경차다. 차값과 세금, 보험료가 적은 경차는 그동안 사회 초년생들의 첫 차로 여겨졌다. 그만큼 초기 투자비용이 적었고 기름값 등 유지비용도 덜 들어갔다. 그랬던 모닝의 겉모습이 확 달라졌다. 마치 “더 이상 싼 맛에 타는 그저 귀엽기만 한 모양새의 경차는 사양하겠다”는 듯 외모만 놓고 보면 전혀 다른 차가 됐다. MZ세대의 개성 강한 성향을 노린 나름의 변신에 시선이 멈추는 건 동급 최초로 적용된 LED 헤드램프와 센터 포지셔닝 램프 때문인데, EV9의 전면부를 닮아 작지만 겉으로는 그리 작아 보이지 않는다. 후면부 디자인은 셀토스가 떠오르기도 한다. 파워트레인은 가솔린 1.0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해 15.1㎞/ℓ의 복합연비(14인치 휠 기준)를 확보했다. 여기에 프리미엄급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과 편의사양도 담았다.
내비게이션 기반의 ‘스마트크루즈컨트롤’, 충돌이 예상될 때 자동으로 제동을 돕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 자동으로 하이빔을 조절해 주변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하이빔 보조’ 등의 기능이 새롭게 적용됐다. 실내 인테리어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은데, 애플카플레이·안드로이드 오토와 연결할 수 있는 8인치 디스플레이 오디오, 후방 모니터, 도어 잠금 연동 전동 접이 아웃사이드 미러, 1열 C타입 USB 충전 단자가 기본 적용됐다. 물론 상품성이 개선되면 가격이 오르게 마련이다. 더 뉴 모닝의 가격은 트림에 따라 1315만원부터 1655만원으로 책정됐다. 기존 모델과 비교하면 기본 트림은 95만원, 최상위 트림은 115만원이나 올랐다. 최상위 트림인 시그니처를 선택하고 앞서 나열한 옵션을 선택하면 1925만원까지 껑충 뛰어 올라간다. ‘아반떼’나 ‘K3’ 등 준중형 세단에 맞먹는 금액이다. 물론 세금, 보험료, 유지비, 이동성, 주차 등 다양한 요소를 감안하면 다르겠지만….
[안재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