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순자산 상위 10% 부자들의 평균 자산이 불과 3년 새 4억5000만원가량 늘어났다. 이는 중산층 자산 증가폭의 6배를 넘기는 수치다.
매일경제신문이 통계청의 2022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순자산 최상위 10% 자산가 가구의 평균 자산은 22억3171만원이었다. 지난 2019년도 수치인 17억7527만원에 비해 4억5643만원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자산 규모로 뽑아낸 중산층 가구(순자산 규모 상위 20~80%)의 자산 증가폭은 평균 7310만7101만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2억8527만원에서 2022년 3억5837만8800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자산가 가구의 자산 증가폭은 중산층 가구에 비해 6.24배 수준이다. 통계청은 매년 약 1만8000가구를 대상으로 설문과 각종 행정데이터를 복합시켜 소득·자산·부채를 조사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실시하는데, 정부가 공식으로 발표하는 분위별 통계는 통상 5분위별(전체 가구를 20%씩 분류) 수치까지다. 분위를 이보다 작게 쪼갤 경우 표본 숫자가 부족해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로 통계청은 자세한 수치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표본가구 숫자가 워낙 방대한 덕분에 상위 10%에 해당하는 가구 숫자만 해도 2022년 조사 기준 1641가구에 달하며, 이는 최상위 부자들의 소득·자산·부채 등을 엿볼 수 있는 자료 가운데 국내 최대 규모다.
비교대상으로 삼은 중산층 가구는 순자산 규모 상위 20%에서 80% 사이에 있는 곳들을 기준으로 삼았다. 2022년도 가계금융복지조사상 표본가구는 1만857가구에 달한다. 중산층으로 한군데 묶기에는 그룹 안에서도 자산 격차가 크지만, 최상위 10% 자산가 계층의 가구와 비교하는 용도로 일반 국민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기 위해 가능한 넓은 집단을 포함시켰다.
최상위 자산가 전체 비중은 줄어
순자산 상위 10% 가구의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자산점 유율)은 2019년 41.1%에서 2022년 40.7%로 소폭 감소했다. 언뜻 한국 사회의 불평등이 해소된 수치로 보이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순자산 하위 60% 가구까지의 자산점유율은 일제히 하락한 반면 상위 20~40% 가구의 점유율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자산 상위계급 전반의 자산이 크게 상승한 반면 중위권 이하에서는 그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추세가 나타난 셈이다.
격차 벌어진 원인은 부동산
자산 빈부격차가 확대되는 원인은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의 자산구성 세부항목을 통해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순자산 상위 10% 가구의 경우 전체 자산 증가폭이 4억5643만원인데, 부동산 자산의 상승폭만 따져 봐도 4억5824만7600원에 달한다. 전체 자산 증가폭보다 부동산 자산 증가 폭이 컸다는 것은 다른 부문 자산에서는 오히려 3년 새 보유자산이 줄어 들었음을 의미한다. 부동산 가격 급등기를 맞이해 다른 곳에 투자해뒀던 자금을 전부 부동산으로 끌어들인 이들이 많았던 탓에 이 같은 수치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중산층 가구의 2022년 기준 평균 부동산 자산은 2억3653만원으로 2019년의 1억8657만원에 비해 약 4995만원 증가했다. 증가폭이 작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전체 자산 상승폭(7310만원)에 비하면 약 70% 수준에 그친다. 자산가 가구의 부동산 자산 증가폭이 전체 자산 증가폭을 뛰어넘은 것과 비교되는 수치다.
자산가 계층이 여유자본을 그대로 두지 않고 시장 상황에 따라 자금을 적극적으로 움직여 자산을 증식시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의 자산·부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순자산 상위 가구일수록 부가 더 빠르게 늘어났는데 소득보다는 부동산 가격 상승이 부의 변화에 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 수년간 가계소득이 완만하게 증가한 데 반해 가계의 부는 부동산 가격 상승에 주로 기인해 빠른 속도로 늘어나 이 같은 양상은 더욱 심화된 상태다.
2022년 기준 자산가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은 17억9651만2000원으로 전체 자산(22억3170만7000원)의 80.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평균 부동산 자산(13억3826만5000원)이 전체 자산(17억7527만원)의 75.4%에 그쳤던데서 유의미하게 상승한 모습이다.
중산층 가구에서도 소폭이나마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늘어나는 양상이었다. 2019년 기준 중산층 가구의 부동산 자산(2억3653만원)이 전체 자산(2억8527만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4%였는데, 2022년에는 부동산 자산이 2억5727만원으로 전체 자산(3억5388만원) 대비 66.0%로 집계됐다.
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가계는 순자산 상위 가구일수록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의 가파른 상승은 상위 가구의 부를 더 크게 늘림으로써 부의 격차를 확대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라고 설명 했다.
부동산 이외의 기타 실물자산 항목에서 자산가 가구의 보유자산이 감소한 것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해 준다. 지난 2019년 평균 7026만원이었던 자산가 가구의 기타실물자산은 2022년 5826만원으로 오히려 1200만원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중산층 가구의 실물자산이 1831만원에서 2074만원으로 243만원 늘어난 것과 상반된 양상이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부동산 자산항목은 다시 거주주택,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 계약금 중도금 납입 금액 등으로 나뉜다. 자산가 가구와 중산층 가구의 자산 격차가 벌어진 절대액수를 비교하면 아무래도 거주주택 부문의 비중이 크다. 자산가 가구의 거주주택 자산은 지난 2019년 평균 6억959만원에서 2022년 9억4265만원으로 3 억3306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산층 가구의 거주주택 자 산은 평균 1억3789만원에서 1억 7502만원으로 증가폭이 3713만원에 그쳤다. 거주주택 가격의 변동으로만 자산가 가구와 중산층 가구의 자산 격차가 3억원가량 벌어진 것이다.
자산가 가구에서는 2019년까지만해도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의 자산 액수가 거주주택을 앞질렀는데, 3년간 거주주택 자산액수가 워낙 크게 늘어난 탓에 두 항목 간 평균액수가 역전됐다.
거주주택 외 부동산서 쏠쏠한 재미
자산가 계층은 2019년 기준 평균 7억1480만원의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 자산을 소유하고 있었는데 2022년에는 이 수치가 8억4015만원으로 1억2534만원 늘어났다. 중산층 가구에서는 2019년 평균 4566만원의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 자산이 2022년 5762만원으로 늘어났다. 거주주택 자산격차 수준은 아니어도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 항목에서도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거주주택 자산의 증가세는 자산가계층이 중산층에 비해 8.9배 수준이었던 데 반해 거주주택 이외 부동산의 증가세는 자산가 계층이 10.5배 큰 증가폭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자산조사가 각 연도별 3월에 진행되는 것을 감안하면 2022년의 통계는 지난해 하락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촉발된 자산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것을 감안하면, 부동산 급등으로 벌어진 자산 격차가 당분간은 조금이나마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최근 매일경제신문이 개최한 ‘서울 머니쇼’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부동산 시장이 당분간 눈에 띄게 반등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시장이 완전히 회복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불안한 측면이 많기 때문에, 시장을 좀 더 관망하면서 1년 정도는 지켜봐도 될 듯하다는 견해가 다수였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부동산은 기본적으로 실물경기나 주식 등 다른 자산 시장보다 후행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고원장은 이어 “부동산 시장이 회복했다고 판단하기엔 전반적으로 불안 요소가 너무 많다”라고 말했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 소장은 최근 부동산 시장이 일견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주식 시장으로 치면 기술적 반등을 한 것이지, 추세 회복 상태는 아니다”라고 진단한 뒤 내년 2분기가 바닥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김소장은 “집값이 바닥을 찍어도 횡보 하는 분위기가 조금 더 갈 듯하다”라며 “개인 의견을 전제로 완전 회복은 2025년 이후에 시도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올해 초부터 정부가 대대적으로 규제를 완화한 후 부동산 매수 심리가 미미하게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하반기부터 경기 침체가 예상되고 부동산 경기가 후행하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은 바닥을 찍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다수였다.
한문도 연세대 정경대학원 교수도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부동산 분위기가 완전히 돌아서기엔 다소 부족하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부동산 급락 분위기를 이끈 금리 인상 기조는 마무리 단계로 보이지만, 경제 상황이 새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지난 2월 전망치 1.8%보다 0.3%포인트 낮춘 것이다.
장기적 안목에서 재건축 투자를 노려보는 방법을 추천한 전문가도 있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서울에서 주택을 공급 하려면 재건축·재개발 말고는 방법이 없다”라며 “짧게는 10년, 길게는 20년 이상 장기 투자할 생각이라면 재건축도 고려할 만하다”라고 추천했다. 그는 “강남권 말고도 목동, 상계동 등 서울 전체가 재건축 사업 대상인 데다 분당·일산 등 1기 신도시까지 있어 정부가 이 사안을 해결하지 않을 순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일경제 금융부 문재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