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이 아는 미술, 시장이 아는 미술 ⑦ 저평가된 작품에 눈 돌리는 미술 시장

    입력 : 2020.09.01 14:14:36

  • 올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 시장은 그야말로 반토막이 났다. 코로나19의 피해는 생각보다 컸다. 미술전시는 줄었고 경매시기도 원활하지 않았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 시장의 매출액은 489억7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금액은 서울옥션과 케이옥션 등 국내 8곳 미술품 경매사의 상반기 온·오프라인 거래액이다. 지난해 상반기(약 826억원)보다 40%, 2018년(약 103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온라인 거래액은 132억원 규모로 작년(127억원)보다 늘었다. 반면 오프라인 거래액이 감소했고, 서울옥션 홍콩경매 등 해외 경매가 열리지 않아 총 매출도 감소했다. 낙찰률은 64.5%로 지난해(65.81%), 2018년(68.76%)과 비교해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협회 측은 “총 출품작이 1만4224점, 낙찰작이 9173점으로 예년보다 많았음을 고려하면 경매 시장 경기가 그만큼 더 안 좋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상반기 출품작은 1만2458점, 낙찰작은 8199점이었다.

    국내에서 전시됐던 데이비드 호크니의 ‘Bigger Trees Near Warter’
    국내에서 전시됐던 데이비드 호크니의 ‘Bigger Trees Near Warter’
    ▶한국 근대 작가 좋은 반응 얻어 상반기 국내 미술 시장의 전체적인 반응은 가라앉았지만 지난 6월 17일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열린 미술품 경매에선 꺼지지 않은 희망의 불씨가 보였다. 이날 오후 4시부터 열린 경매의 낙찰률은 77%, 낙찰총액은 약 54억원을 기록하며 마무리됐다. 총 3점이 출품된 오지호의 작품은 모두 시작가를 훌쩍 넘는 낙찰가를 기록하며 새 주인을 찾았다. 특히 ‘항구’는 1200만원에 경매를 시작해 3200만원에 낙찰됐다. 이외에 오세열의 ‘무제’, 장두건의 ‘파리 다사스 거리’, 전혁림의 ‘누드’, 박항섭의 ‘소야곡’ 등 한국 근대 작가들의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런가하면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우환의 작품도 다양한 시리즈가 출품됐다. 그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작품은 작가가 작업했던 와인 레이블의 색감과 유사해 희소성을 갖춘 2015년 작 ‘Dialogue’로 4억5000만원에 경매를 시작해 6억1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또한 미국에서 돌아온 박수근의 ‘노상’은 3억5000만원에 경매를 시작해 4억7000만원에 낙찰됐다. 서울옥션 측은 “그동안 한국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시장에선 저평가됐던 근대 작가들의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은 경매였다”고 평가했다.

    ▶해외 미술 시장도 코로나19 타격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분위기는 해외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아트바젤 측이 최근 발표한 ‘2020 세계미술시장 보고서’를 살펴보면 유수의 아트 페어와 경매들이 취소되거나 연기되며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았고, 경매 최고가 경신 뉴스가 연이어 터지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경매 시장도 침체됐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두 가지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첫째, 최근 2년간 밀레니얼 세대가 베이비부머보다 6배나 많은 작품을 구매하며 미술 시장의 주 고객층으로 성장했다는 점, 그리고 여성컬렉터의 성장세가 완만히 상승하며 새로운 고객층으로 떠올랐다는 점이다. 과연 새로운 컬렉터의 출현이 미술 시장을 견인하는 구심점이 될 수 있을까.

    <매경LUXMEN>의 9월호 미술시리즈는 화제를 낳고 있는 해외작가로 시선을 돌렸다. 새로운 컬렉터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하지만 아직 최고 경매가를 경신하지 못한 작가들이다.
    르네 마그리트, ‘Le Chant des Sirenes’
    르네 마그리트, ‘Le Chant des Sirenes’
    끊임없이 변화하는 해외 미술 시장 화제의 작가는 누구? 글 이은주 서울옥션 스페셜리스트 매년 블루칩 작가들의 미술품 경매 최고가 경신 기사가 매스컴에 오르내린다. 작년 5월 뉴욕 크리스티 록펠러 센터에서 열린 이브닝 경매에서는 제프 쿤스(Jeff Koons)의 작품 ‘토끼(Rabbit)’가 9100만달러(약 1082억원)에 낙찰되며 현 생존 작가 중 최고 경매 기록을 경신했다. 이어 같은 시즌 소더비 뉴욕 경매에서 1억1074만달러(약 1315억원)에 낙찰된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건초더미(Meules)’는 예상 낙찰가의 두 배를 순식간에 뛰어넘어 2019년을 통틀어 가장 최고가에 거래된 작품 1위에 올라 세계 미술 시장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올 초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세계에서 가장 비싼 작가’라는 타이틀로 회고전을 개최하여 국내에서만 무려 30만 명의 방문객이 다녀간 영국 예술가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또한 ‘핫’한 작가의 반열에서 빠질 수 없는 건 매한가지다.

    앞서 말한 작가들은 이미 스타 반열에 오른 이른바 ‘검증된’ 작가들이다. 만약 이미 이들의 작품을 가지고 있다면 후에 큰 수익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라고 조심스레 예측해 본다. 하지만 우리가 궁금한 것은 블루칩 작가들의 작품 외에 어떤 작가의 작품에 투자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일 것이다. 주식과 부동산 투자처럼 미술품 투자 역시 발 빠른 정보의 싸움이다.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 하루하루 그 명성을 더해갈 동안, 우리는 우리 주머니 사정에 맞는 새로운 가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른바 블루칩 작가들의 작품들을 발굴해 내야 한다. 작가에 대한 충분한 지식은 물론 작품의 진가를 알아보는 심미안, 결국은 향후 10년 내에 성장 가능성이 있는 작가를 제일 먼저 알아보고 그의 작품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위에 언급한 작가들과 더불어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 장 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등 마우스 클릭 하나만으로도 누구나 알 수 있는 공공연한 스타 작가들 외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작가는 누가 있을까. 해외에서는 물론 국내 미술 시장에서도 큰 화두가 되었지만 아직 우리에게 ‘경매 최고가’라는 타이틀이 익숙하지 않아 눈여겨보아도 좋을 작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르네 마그리트 ‘데칼코마니’
    르네 마그리트 ‘데칼코마니’
    ▶가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환상 속으로, 르네 마그리트 초현실주의 대표 작가로 알려진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는 보는 이의 눈길을 사로잡는 독보적인 화면으로 국내외 유수 미술관에서 많은 전시를 개최한 바 있다. 그만의 독특한 화풍 덕에 누구나 한 번쯤은 마그리트의 작품을 본 기억이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하다. 우선 마그리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초현실주의’ 이론을 알아야 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영향으로 꿈과 무의식의 세계를 표현하는 초현실주의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파생된 ‘다다이즘’의 정신을 이어받았다. 합리적이고 이성적이었던 서구 문명에 반대하는 예술운동의 시작은 현실에 속박되지 않은 꿈과 무의식, 그리고 상상력의 세계를 추구하게 했다. 인간의 정신을 해방하는 것을 목표로 자유롭게 그들만의 공상, 환상의 세계를 실제의 화폭에 그려 내기 시작했다. 벨기에 출신이었던 마그리트도 자신의 화풍을 모색하던 초기, 입체주의와 미래주의에 관심을 갖고 이에 영향을 받은 작품을 전개했다. 이후 프랑스 파리에 머물며 교류했던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호안 미로(Joan Miro) 등 초현실주의 화가들의 영향으로 초현실주의의 영역 안에서 본인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발전시켜 나갔다.

    마그리트는 사과, 돌, 새, 담배 파이프 등 친숙한 사물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이와 대립되는 요소들을 같은 화폭에 기묘하게 결합시키는 데페이스망(Depaysement) 기법을 사용한다. 데페이스망이란 본래 ‘추방시키다’ 혹은 ‘낯설다’라는 뜻을 가진 프랑스어로 미술사조에서는 ‘상식의 파괴와 시각적 충격을 준다’는 뜻을 갖는다. 일상적인 소재를 엉뚱한 장소에 배치하는 낯선 조합에 시적 이미지를 더하는 것이다. 그 해석은 관람객의 몫으로 남겨두는 방식인데 상식과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현실의 세계를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기발한 발상, 관습적 사고의 거부, 신비하고 환상적인 분위기, 시적인 조형성 등은 초현실주의자들이 추구했던 것들이다.

    르네 마그리트 ‘불가능한 것에 대한 시도의 습작’
    르네 마그리트 ‘불가능한 것에 대한 시도의 습작’
    마그리트 역시 이를 화폭에 충실히 담아내면서도 본인의 철학을 더해 다른 초현실주의자들과는 차별화된 면모를 보여주었다. 당시 초현실주의자들은 꿈과 무의식의 세계에 심취하여 이를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했지만, 철학에 조예가 깊었던 마그리트는 존재와 세계에 대한 철학적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그림을 통해 시각적으로 재현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으로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저명한 작품은 그의 독보적인 초현실주의를 잘 나타낸다. 단순히 감상의 목적 그 이상을 지향하며, 관람자에게 깊은 사색의 시간을 선사하는 것이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는 중절모를 쓰고 있는 신사가 자주 등장한다. 주로 뒷모습으로 그려지거나 사물에 얼굴이 가려져 있는 형태다. 이는 작가 본인을 상징하는 것으로 실제로 마그리트는 평상시 중절모를 즐겨 썼으며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것을 꺼려했다고 전해져 작품 속 인물을 통해 이러한 자신의 무의식을 표출하고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그리트의 작품은 평소 교과서나 미술관 전시회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때문에 이러한 작품이 미술 시장에서 실제로 얼마에 거래되고 있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아시아에서 마그리트의 작품이 경매에 출품된 사례는 단 한 번으로, 작년 상반기 홍콩에서 열린 서울옥션 경매 출품작 ‘사이렌의 노래’가 유일하다. 세로 46㎝, 가로 38㎝의 작은 캔버스에 중절모를 쓴 남성의 뒷모습을 담은 이 작품은 2400만홍콩달러(약 36억8000만원)로 시작해 전화 응찰자 2명이 경합하여 호가가 한 번에 무려 100만홍콩달러(약 1억5000만원)씩 상승했다. 그 결과 5000만홍콩달러(약 72억4000만원)를 부른 해외 전화 응찰자에게 팔리는 쾌거를 거두었다. 아시아권 미술 시장에 서구적 기호가 강해지면서 서양 현대미술작품을 사려하는 컬렉터들의 증가도 한몫했다.

    사진설명
    ▶흐트러진 풍경 속에서 피어난 인간의 본질과 욕망, 세실리 브라운 최근 미술 시장 트렌드 중 화두로 떠오르는 주제는 여성 작가다. 남성 작가들의 작품과 비교 시 여전히 작품 가격이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 경매 시장의 거래가는 월등히 빠른 속도로 상승하는 추세다. 경매 낙찰가 기준으로 예술품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소더비의 메이 모지스 지수(Mei Moses Fine Art Index)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부터 최근까지 남성 작가의 작품의 리세일 통계는 약 8% 상승했다. 반면, 여성작가는 무려 73%로 치솟았다. 여성작가들의 작품이 긴 시간 동안 시장의 주목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 시장가치가 성장할 수밖에 없던 결과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1945년 이후에 활동한 여성 작가들의 작품 거래 빈도 상승의 영향으로 결국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여성 현대미술 작가다. 매우 오랜 시간 저평가되어 온 이들의 작품은 현재 아트페어의 대표작으로 선보일 뿐 아니라 미술관에서도 대규모 회고전 및 개인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작가들의 선전은 한철 떠오르다 사라지는 한시적인 현상이 아니다. 그만큼 미술 시장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이 중에서도 해외에서는 생존 여성작가 거래 랭킹의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세실리 브라운(Cecily Brown)’에 주목해보자.

    거친 붓 터치와 역동적인 이미지가 강렬하게 각인되는 세실리 브라운의 작품은 윌렘 드 쿠닝(Willem de Kooning)의 추상표현주의 화풍이 자연스레 연상된다. 실제로 작가는 액션페인팅의 대가 윌렘 드 쿠닝과 물결의 규칙적인 붓 터치가 특징인 조안 미첼(Joan Mitchell) 등 추상표현의 거장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영국 런던 출생이었던 그녀는 동시대 YBA(Young British Artist) 작가들이 영국을 장악하던 시기, 런던을 떠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이들과는 다른 행보로 자신만의 독보적인 예술 세계를 개척하며 화단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당시 남성들이 주류를 이루던 추상표현주의 화풍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성과 사랑, 죽음과 폭력 같이 금기시되었던 적나라한 주제들을 여성적 시선으로 표현하였다.

    세실리 브라운 ‘The Homecoming’
    세실리 브라운 ‘The Homecoming’
    초기 작업의 주요 소재는 노골적인 성적 장면들이었다. 이러한 소재들은 유화라는 매체의 특징을 통해 에로틱한 효과를 극대화하여 당시 미술계에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다. 도발적인 그녀의 작품은 젊은 작가들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던 다이치 프로젝트 갤러리(Deitch Projects Gallery)에서 개인전을 개최하는 기회로도 이어졌다.

    이후 작가는 점차 소재의 명확한 묘사를 거부하며 구상의 틀을 깨고 파편화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더 이상 작품에서 구체적인 형태를 찾아볼 수 없었고, 단지 무언가 그 대상을 암시하는 형태의 형상만을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작가는 이에 대해 “나는 성적 행위 자체를 묘사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그보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이 어떠한 성적인 긴장감을 얻길 원한다”라고 언급하며 본능적인 성의 본질에 가까워진 감각적인 그림으로 발전했다. 격렬한 붓질로 그려진 살색의 형태들은 애매모호하게 뒤엉킨 사람의 형상을 떠오르게 하며 다양한 성적 상상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까지 기록된 그녀의 최고가 작품은 2018년 5월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팔린 1999년 작품 ‘서든리 라스트 서머(Suddenly Last Summer)’로 약 680만달러(약 76억원)에 거래됐다. 두 번째로 높게 거래된 작품은 같은 해 11월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 출품된 ‘파자마 게임(Pajama Game)’으로 3900만홍콩달러(약 56억원)에 낙찰됐다.

    아야코 로카쿠
    아야코 로카쿠
    ▶사춘기 아이들의 발칙한 순수함, 아야코 록카쿠 미술품 투자의 수익을 높이려면 저평가된 신진작가의 작품을 발굴하는 것이 우선이다. 안정적인 투자로 검증된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구매하기에는 이미 치솟은 가격을 감당해야 하는 무리가 따른다. 때문에 기대 수익률이 높은 신진작가의 작품을 골라내는 것이 방법이다. 따라서 스타작가들의 뒤를 잇는 차세대 작가들이 누가 될지의 여부는 늘 미술계의 최대 관심사이기도 하다. 미술 경매 시장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일본 현대미술의 대가 요시토모 나라(Yoshitomo Nara)의 작품은 점점 더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종이 드로잉, 판화 작품들까지 무려 5000만원에서 1억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되고 전시회에서 판매하는 아트상품까지 전 세계 경매 시장에서 큰 수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성과로 아시아 미술 시장에서 누가 제2의 요시모토 나라가 될 것인지에 대한 추측은 늘 즐거운 논쟁이 되곤 한다. 다양한 가능성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추측은 바로 1982년생의 일본 작가 ‘아야코 록카쿠(Ayako Rokkaku)’이다.

    록카쿠는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 않고 완전한 독학으로 신선하고 귀여운 작품들을 완성한다. 어린아이의 순수한 그림을 연상시키는 그녀의 작품은 사뭇 나라의 화풍이 연상된다. 하지만 맨손으로 캔버스나 판지에 아크릴 물감을 바르고 역동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구성으로 특정한 목적 없이 그림을 그리는 자신만의 독특한 화법을 내재한다. 사전에 계획된 구상 없이 시작하여 그림이 서서히 완성되기까지의 자연스러움을 추구한 화폭에는 꽃, 동물, 큰 눈망울의 어린 소녀가 한데 모여 몽환적이고 화려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일본 만화의 영향을 받은 듯 큰 눈과 긴 팔의 어린 소녀들은 작가의 성격을 그대로 반영해 솔직한 표정을 담고 있다. 절제와 규칙을 배제하고 상상력과 생생한 색채의 사용은 화려하고 행복한 꿈의 세계를 실현한다.

    아야코 록카쿠 ‘Untitled’
    아야코 록카쿠 ‘Untitled’
    록카쿠는 2000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아티스트로 활동한 지는 20년이 조금 넘었다. 2003년과 2006년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 무라카미 다카시(Murakami Takashi)의 소속 갤러리 카이카이 키키(Kaikai Kiki)가 기획한 도쿄의 신진작가들을 위한 ‘가이세이 아트페어(Gaisei Art Fair)’에서 두 번 수상했다. 가이세이는 크리스티 경매사의 소유주 프랑수아 피노(Francois Pinault)와 건축가 안도 다다오(Ando Tadao), 요시모토 나라 등 유명 인사들을 초빙하여 심사위원으로 선정한 바 있다. 베를린, 포르투, 도쿄, 암스테르담에서 교대로 거주하며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는 그녀는 2007년 암스테르담의 갤러리 델레이브(Gallery Delaive)에서 첫 전시회를 개최한 후 로테르담의 쿤스트할(Kunsthal)과 슬로바키아의 다누비아나 멀린스틴 미술관(Danubiana Meulensteen Art Museum)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수천 명의 관람객이 몰렸다. 이후 스위스,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 중국에서 작품을 선보였고, 2009년에는 일주학술문화재단 초청으로 국내에서도 전시를 한 바 있다. 현재 유망한 현대미술가 중 한 명으로 전 세계 미술계의 이목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7년 일본의 신화옥션 경매에 60㎝ 안팎의 골판지 페인팅이 처음으로 출품되어 52만엔(약 580만원)에 낙찰되었고, 현재까지 500개 미만의 소수 작품들이 경매에서 거래되었다. 올해 7월 32회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 출품된 높이 91㎝의 캔버스 작품은 41만홍콩달러(약 6500만원)에 시작해 무려 66만홍콩달러(약 1억원)에 낙찰되었다. 향후 10년 이내 이 작가의 거래가는 얼마나 상승해 있을지 기대해볼 만하다.

    [안재형 기자·이은주 서울옥션 스페셜리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20호 (2020년 9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