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50대가 머무는 복합문화공간…부활한 동네서점
입력 : 2016.12.16 13:55:05
-
홍대 유어마인드
올해 5학년(50대)이 됐다는 김상태(가명) 씨는 부부가 함께 이화여대 앞에 자리한 서점 ‘위트앤시니컬’에 들르곤 한다. 시집을 주로 다루는 이곳은 크게 책과 팬시용품, 음악CD와 LP를 판매하는 공간과 카페, 작은 무대로 구성돼 있다. 일단 서점은 1층에 자리해야 장사가 잘 된다는 일반적인 생각은 이 서점과는 동떨어진 얘기다.
신축건물 3층에 자리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야 하는데, 그렇다고 책이 많은 것도 아니요, 베스트셀러가 진열된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평일 오후 서점 안에 사람들이 촘촘하다. 비교적 거리가 가까운 홍대 주변에는 이보다 규모가 작은, 말 그대로 동네책방이 색다른 문화를 뽐내고 있다. 서교동의 ‘유어마인드’, ‘땡스북스’, 연남동의 ‘책방 피노키오’, ‘헬로 인디북스’, ‘라이너노트’, 상암동 ‘북바이북’까지 아는 이들에게 이미 익숙한 책방이자 문화공간이다.
위트앤시니컬
“중학생인 딸하고 데이트도 할 겸 가끔 홍대 앞에 가는데 갈 때마다 빼놓지 않고 들르는 곳이 서점입니다. 홍대 앞이 언제부터 그렇게 변했는지, 수천 곳은 될 것 같은 술집들 사이로 서점 하나가 없더군요. 처음엔 정말 서점이 없는지 딸하고 내기를 했어요. 결국 사방을 다 돌아다니다 하나 발견하긴 했지. 그런데 이곳이 참 재밌어요. 대형서점에 온갖 책들이 다 있다면 여긴 자기들이 선정한 책을 진열하고 판매합니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이번 주엔 어떤 책들이 잘 팔렸는지, 어떤 전시나 이벤트가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이왕이면 이벤트가 있는 날 찾게 됩니다. 휴대폰으로 인터넷 서점 결제버튼 한번 누르면 해지기 전에 집으로 책이 오는 시대에 뭐하는 짓이냐는 분들도 있는데, 생각해 보세요. 온라인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소통한다는 게 전 익숙하지만 제 딸에겐 새로운 경험이거든요. 분위기도 좋아요. 카페도 겸하고 있어서 차 한 잔 시켜놓고 딸이랑 책 한 권 갖고 이런저런 대화하다 보면 두어 시간이 후딱 지납니다. 같이 제대로 놀았다 싶어요.”
서교동에 자리한 ‘땡스북스’ 팬이라는 윤석용(가명) 씨는 이 작은 서점의 회원서비스에 만족하고 있다. 무료로 회원 가입을 하면 도서구매금액의 10%가 적립되고 도서전시회, 저자와의 대화, 할인이벤트 등 여러 행사 스케줄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다. 윤씨는 “유명 작가의 강연이라도 있는 날이면 딸에게 데이트 신청부터 한다”며 “SNS상에선 느낄 수 없는 소소한 재미가 있다”고 전했다.
라이너노트
‘저자와의 대화’를 진행 중인 최인아 책방 
▶개성 살린 책방, 유명 인사들도 한몫
개성이 묻어나는 동네책방 부활에 큰 몫을 담당한 건 역시 인지도 높은 유명인들의 참여다. 우선 ‘그녀는 프로다. 프로는 아름답다’,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세요’ 등 익히 알려진 광고 카피를 탄생시킨 제일기획 부사장 출신 최인아 씨의 ‘최인아책방’은 서울 강남 선릉역 주변에선 이제 명소가 됐다. 이곳은 ‘생각의 숲을 이루다’란 콘셉트로 인문학과 소설을 판매하고 있다. 눈에 띄는 건 책의 분류다. ‘서른 넘어 사춘기를 겪는 방황하는 영혼들에게’,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 고민할 때’ 등 카피라이터의 장기가 더해진 문구로 책을 진열한다. 저자와의 대화, 연주회 등을 갖기도 해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도 톡톡히 하고 있다. 방송인 노홍철 씨도 최근 한남동 해방촌에 ‘철든책방’이란 동네책방을 열었다.
세계문학과 여행, 개성 강한 독립출판물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노 씨는 포장부터 계산까지 손수 운영하며 방송스케줄로 문을 열지 못할 땐 SNS를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책방 주인이 꿈이었다는 가수 요조도 서울 북촌에 ‘무사(無事)’란 책방을 열었다. ‘무사히 망하지 말자’란 의미라는데, 이곳에선 책방 주인이 읽고 싶었던 책, 독립출판물, 헌책, 음반, 엽서 등을 만날 수 있다.
▷전국의 동네책방 천안 ‘허송세월’
천안시 중앙동에 자리한 책방이다. 책과 함께 손글씨 등 다양한 창작물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출간된 지 꽤 오래된 헌책부터 따끈따끈한 새 책, 독립출판물까지 포트폴리오가 아기자기하다. 주인이 직접 손글씨로 ‘새 책, 헌책, 기부받은 책들이 섞여 있으니 책 가격은 주인장에게 꼭 물어볼 것, 편안한 자리를 찾아 오래오래 읽다 갈 것, 안쪽에 다락방도 있으니 책을 읽어도, 일을 해도, 과제를 해도 좋아요’라고 책방을 소개하고 있다.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 228-3 1층)
▷청주 ‘꿈꾸는 책방’
청주 금천동의 명소가 된 이곳은 하루 종일 커피 한잔 마시고 책읽기 좋은 곳이다. 그만큼 책방이라기보단 카페를 닮았다. 분야별로 세심하게 분류돼 있어 원하는 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매달 ‘작가와 함께 꿈꾸는 꿈’이란 인문학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청주지역 작가를 비롯해 인근 지역 작가까지 ‘우리 동네 작가들’이란 코너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 64-4 102호)
▷서울 진관동 ‘프레드릭’
영유아부터 어른들을 위한 그림책을 판매한다. 동화작가 이루리 씨와 출판사 북극곰 대표 이순영 씨가 운영하는 곳이다. ‘그림책을 사랑하는 모임’을 운영하고 있고 그림책을 만들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강연도 진행하고 있다. (서울 은평구 진관동 84)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75호 (2016년 1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