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연 포터는 ‘2016 베스트셀링카’가 될 수 있을까?
입력 : 2016.08.05 17:49:27
-
다사다난한 한 해는 이제 고작 반이 지났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국내 자동차 산업, 특히 수입차 업계는 이제 겨우 한숨 돌리고 섰다. 난제는 여전히 곳곳에 산재해 있다. 그럼에도 사랑받은 자동차는 분명 있게 마련이다. 과연 어떤 브랜드, 어떤 모델이 수위를 차지했을까.
우선 국산차부터 들여다 보면 5%에서 3.5%로 인하한 개별소비세 효과가 내수시장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여기에 K7, EQ900, SM6, 티볼리 등 신차들이 줄지어 출시되며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판매대수는 총 80만3901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10.6%나 늘어난 수치다. 반면 수출은 중동·중남미 등 신흥시장의 경기침체와 해외생산분 판매 증가로 지난해 동기대비 13.3% 줄어든 133만8590대에 머물렀다. 금액 부문도 마찬가지. 13.5% 감소한 206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중동(27억1900만 달러, -40.3%), 아프리카(4억7400만 달러, -31.1%), 러시아(4억8800만 달러, -17.7%), 중남미(18억 달러, -15.3%) 순으로 감소폭이 컸고, 자유무역협정(FTA) 지역인 호주(11억6200만 달러, 24.1%)와 EU(26억9600만 달러, 3.2%)는 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The New E-Class’, 폭스바겐 ‘신형 티구안’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현대차는 2016년 상반기 내수 35만1124대, 수출 204만2834대 등 전 세계시장에서 지난해 상반기보다 0.9% 감소한 239만3958대를 판매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내수는 4.5% 증가하고 수출은 1.8% 감소한 수치다.
차종별로 보면 포터가 5만4689대나 팔리며 수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5.9% 판매가 늘었는데, 국산·수입차를 모두 합쳐 상반기에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링카가 됐다. 사실 지금까지 베스트셀링카는 세단의 독주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대차의 중형세단 쏘나타가 12년, 그 뒤를 준중형 세단 아반떼가 3년간 1위를 차지했다. 그랬던 공식이 살짝 흔들리고 있다. 하반기에도 이런 기세라면 진풍경이 연출될지 모를 일이다. 물론 속내는 그리 유쾌하지 않다. 국민트럭이라 불릴 만큼 친숙한 포터는 생계형 자영업자들의 재산목록 1호다. 그런 까닭에 자동차 업계에선 포터가 많이 팔리면 퇴직과 창업이 급증하는 것이라 말하곤 한다. 그만큼 불황의 그늘이 길다는 의미다. 지금으로선 포터 판매의 걸림돌은 유로6 정도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올 9월 1일부터 3.5톤 미만의 기존 차량에도 유로6 기준이 적용된다. 즉,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보강돼야 판매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당연히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 자영업자에겐 부담이 또 하나 늘어난 격이다.
쉐보레 ‘스파크’
데일 설리번 한국지엠 부사장은 “올 상반기는 회사 출범 이래 가장 좋은 내수판매 실적을 달성하는 등 긍정적인 모멘텀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볼트, 카마로SS 등 신차 출시를 통해 이러한 상승세를 이어가는 한편, 전국 단위의 활발한 마케팅과 우수한 고객 서비스를 지속 제공해 올해 내수시장에서의 목표를 달성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올 상반기 수입차시장은 그야말로 악재의 연속이었다. 우선 그간 시장의 성장을 주도해온 독일차에 대한 신뢰가 흔들렸다. 디젤차도 마찬가지다. 개정된 세법으로 법인차 판매량도 줄었다. 전체판매량은 11만6749대, 지난해 동기대비(11만9832대) 소폭 감소했다. 수입차시장의 판매량 감소세는 2009년 이후 7년 만의 사건이다. 하지만 업계에선 이상할 것도 없다는 반응이다.
독일차는 메르세데스-벤츠(6.8%)를 제외하면 모든 브랜드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특히 아우디와 폭스바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3%, -33.1%로 판매량이 줄었다. 그럼에도 브랜드별 판매순위를 살펴보면 2, 3, 4위는 BMW, 아우디, 폭스바겐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 이유로 수입차 업계 일각에선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한 딜러사 직원은 “판매량이 줄었다지만 전체적인 시장 상황을 좋지 않게 만든 주범이 여전히 판매순위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 기회에 한국 소비자들의 독일차에 대한 관심을 여타 국가의 다양하고 우수한 차종으로 돌리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매년 두자릿수 이상 성장해 온 디젤차는 올 상반기에 7만5676대가 새롭게 등록되며 지난해 동기대비 7.7% 감소했다. 디젤차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지자 2000cc 이하 차량의 판매량도 지난해에 비해 7.2%나 줄었다. 저배기량 차량 대부분이 디젤차이기 때문이다.
랜드로버 ‘이보크 컨버터블’. 올 상반기에 랜드로버는 지난해 동기 대비 무려 68.4% 성장했다.
웃을 수도 울 수도… 르노삼성의 CEO 리스크박동훈 르노삼성 사장
베스트셀링카는 ‘임팔라’? 올 상반기 수입 베스트셀링카는 폭스바겐의 티구안, 메르세데스-벤츠의 E220, 폭스바겐의 골프 순으로 집계됐다. 디젤게이트의 주역이 베스트셀링카로 선정된 웃지 못할 해프닝이 아이러니. 하지만 수입차 업계 일각에선 정작 실제 1위는 따로 있다고 말한다. 한국 지엠의 ‘임팔라’가 그 주인공이다. OEM 방식으로 미국에서 들여와 판매하고 있는 임팔라는 올 상반기에만 8128대가 팔렸다. 티구안(4164대)을 약 2배가량 앞선 압도적인 수치다. 게다가 한미 FTA가 발효되면서 올해부터는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다. 그럼 1위에서 밀려난 티구안이 2위 자리는 지키고 있을까. 이번엔 유럽에서 전량 수입되는 르노삼성의 QM3가 버티고 섰다. 이 차는 상반기에만 6073대가 판매됐다. 그럼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국내에서 완성차를 생산하는 한국지엠과 르노삼성은 한국수입자동차협회가 아닌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가입돼 있어 전 차종의 판매실적이 국산차와 함께 집계되고 있다. 각 협회의 등록대수 통계는 회원사 기준이다.
[안재형 기자 자료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71호 (2016년 08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