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건축트렌드] (6) 현대 디자인의 시초가 된 학교 건축의 집 ‘바우하우스’

    입력 : 2016.05.13 17:26:02

  • 데사우에 있는 바우하우스 photo by wikimedea
    데사우에 있는 바우하우스 photo by wikimedea
    바우하우스(Bauhaus)는 1919년 독일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1883-1969)에 의해 독일 바이마르(Weimar)에서 설립됐다. 바우하우스는 건축의 집이란 뜻을 갖고 있다. 설립자가 건축가였는데도 초기에는 건축에 대한 교육이 실행되지는 않았고 전반적인 예술 교육에 치중했다. 건축 관련 과목은 학교가 설립된 후 8년이 지나서야 개설됐다. 바우하우스에서 시작된 디자인에 대한 정립과 사회 참여 실천 교육은 향후 미국을 비롯해 현대 디자인의 주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많은 건축가를 양성하는 데 초석이 됐다.

    바우하우스 설립의 핵심적인 목표는 과거에 구속되지 않고 근본적 변혁을 원하는 것이었다. 모든 예술의 통일성을 반영하기 위해 물질세계를 창의적으로 재상상하는 것이었다.

    그로피우스는 하나의 창조적인 표현으로 건축, 조각, 그림 그리기를 결합하는 유토피아적인 공예 연합을 설명하는 바우하우스 선언(1919)을 했고, 이 선언에서 예술과 디자인의 결합을 위한 비전을 설명했다. 응용 예술과 제조를 재결합하고, 교육을 개혁하고자 했다. 그는 다양한 분야와 각 분야 사람들과의 협력이 가장 중요한 창조 환경이라고 생각했다. 순수 예술가들이 세속적인 상업적 공예가를 인정하고, 종교·문화가 다른 가치관도 수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로피우스는 삶의 새로운 체제에 적합하고, 유용하고 아름다운 대상을 창조할 수 있는 장인과 디자이너를 양성할 수 있는 기술적인 기반이 되는 교육 과정을 개발했다. 바우하우스는 미술, 산업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인테리어 디자인, 건축을 포함한 모든 예술 매체의 전체를 포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교육을 수행하는 학교 건물은 나중에 철골 공사, 유리 커튼 월을 포함하는 현대 건축의 특징이 된 많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로피우스는 학교 건물을 디자인하면서 최대 효율과 공간적 논리를 통하여 적절한 스튜디오, 강의실 및 관리공간을 분배했다.

    바우하우스는 미술 및 디자인 교육 모두의 요소를 결합하고 있다. 교과 과정은 예비 과정부터 시작했으며, 예비과정은 사회적, 교육적 배경이 다른 다양한 지역에서 온 학생들에게 재료, 색상 이론을 공부하고 실천하게 했다.

    전문적인 연구를 시작하기 위한 공식적인 준비로서 학생들이 몰입할 수 있도록 예비과정으로부터 교육을 시작했다. 이 예비 과정에는 시각 예술가들도 참여하여 진행되었는데, 교수진으로 바실리 칸딘스키(Vasily Kandinsky), 조셉 알버스(Josef Albers) 등이 참여했다.

    바우하우스 이론에 따라 학생들은 금속 가공, 가구 만들기, 직물, 도자기, 조판, 그리고 벽화를 포함하는 전문 작업장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했다.

    발터 그로피우스 photo by dana_scc
    발터 그로피우스 photo by dana_scc
    ▶예술과 공예의 결합

    바우하우스 창설의 동기는 기계적 제조 및 제품에 예술적인 영혼이 없음에 대한 불안으로 사회적 목적 대비 예술적 손실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당시까지 창의력과 제조업은 서로 떨어져 표류하였는데, 바우하우스는 그들의 결합을 목표로 창설됐다.

    바우하우스는 미술 교육의 오래된 학문적 전통 정신의 많은 부분을 포기했지만, 지적 및 이론적 추구에 강점을 유지하면서 중세 길드 시스템의 실용적인 기술, 공예 및 기술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연계를 추진했다. 또한 미술 및 공예의 결합에는 현대 산업 사회의 문제 해결 목표도 함께 주어졌다. 이 과정에서 바우하우스는 효과적으로 예술의 고전 계층을 만들었는데, 조각과 회화 등 예술과 어울리는 수준의 공예를 배치하고, 20세기 후반에 영감을 많이 준 예술가들의 아이디어로 많이 포장했다.

    바우하우스의 실험과 문제 해결에 대한 노력은 예술 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에 대하여 엄청난 영향력을 주었다. 건축, 그림, 조각 미술은 ‘시각 예술’로 생각되었으나, 연구 과학, 문학이나 역사 등은 인문학의 부속으로 상대적으로 적게 고려됐다.

    그로피우스 초기의 목표는 기술을 통한 예술의 통일이었지만, 이 방법의 특징은 경제적으로 비현실적이라는 것이었다. 1923년 바우하우스의 목표를 재배치하였는데, 기술에 중점을 유지하면서 대량 생산을 위한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 당시 바우하우스 학교의 슬로건으로 ‘산업에 예술을’을 채택한 것을 보면 그 목표의 의미를 알 수 있다.



    바우하우스 실습장 photo by dry image
    바우하우스 실습장 photo by dry image
    ▶창조적 잠재력 육성과 실제적 작업교육 그로피우스가 만든 교육과정은 둥근 모양의 다이어그램으로 표시됐다. 바깥쪽의 링은 6개월 의 기초과정을 나타내는데, 실제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대조적인 형태, 색, 자재에 특히 집중되었다.

    2개의 중간 링은 2개의 3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 과정은 형태와 관련된 문제들에 집중되어 있는데, 기술공예 숙련도를 강조하는 실제적인 작업 교육이었다. 학급들은 새로운 디자인이 쉽게 재현될 수 있도록 단순화되었으며, 기하학적 형태를 통하여 기능주의를 강조했다.

    교육 과정의 중심으로 기술적 제조업에서 잃어버린 공예 및 세공기술에 중점을 두었는데, 기술 재생을 통해서 실용성과 필요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건축 공사 전문 과정을 실시했다.

    기본 교육적 접근 방식은 서로 경쟁하려는 경향을 제거하고 개별 창조적인 잠재력과 공동체 의식 및 공유의 목적을 육성하는 것이었다.

    이 프로그램을 만든 제작자들은 그로피우스의 마음을 움직이는 엄청나게 재능 있는 교수들이었다. 아방가르드 화가 요하네스 이튼(Johannes Itten)과 라이오넬 파이닝거(Lyonel Feininger), 그리고 조각가 게르하르트 막스(Gerhard Macks)는 그가 첫 번째로 임명한 사람들이었다.

    요하네스 이튼은 특히 중요했다. 그는 창조의 중심이었고, 표현주의에 있어서 그의 배경은 기술을 강조하고 중세 정신을 포함하는 것으로, 학교의 초기 교풍이 대부분 그의 이론을 반영한 것이었다.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도 그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요하네스 이튼의 아방가르디즘(전위주의)과 그로피우스의 사회적 관심은 곧 불화를 만들었다. 1920년대 초반에, 결국 요하네스 이튼은 학교를 떠났고, 기술을 포용하고 사회의 사용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개혁한 라즐 모홀리 나기로 대체됐다.

    그는 유태인으로 바우하우스에서 예술적 실험과 사회적 실천을 계속했으며, 이러한 정신은 향후 나치를 피해서 도피한 미국에서도 연장했고, 디자인교육과 예술을 사회적으로 실천하는 신념을 학교와 산업 디자인 영역에서 추구했다.

    1925년, 바우하우스는 가장 번성한 시기에 독일의 산업 도시인 데사우(Dessau)로 이동했다. 그로피우스는 학교를 위해 새로운 건물을 설계했는데, 이 건물은 이후 현대 기능주의 건축의 획기적인 건물로 간주됐다. 예술의 결합을 전제로 한 학교 시설에서 눈에 띄게 부족했던 건축 부서를 새로운 학교에서는 만들게 됐다.

    그 이후 그로피우스는 자유로운 창작활동을 위해 1928년 사퇴했다. 학교의 지배권은 스위스 건축가인 하네스 마이어(Han nes Meyer)에게 넘겨졌다. 마이어는 건축부서를 지휘했는데 그는 적극적인 공산주의자로서, 학생 조직과 학급계획을 통해 자신의 마르크스주의 이념을 혼합시켰다. 학교에 대한 강화 구축은 지속되었지만, 마이어에 의한 마르크스주의의 성장에 대한 비판으로 결국 그는 1930년에 교장에서 물러나게 됐다.

    1932년 같은 해, 학교는 베를린으로 옮겨가서, 기능주의의 옹호자인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에 의해 새로운 방향으로 나가게 됐다.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전 교장인 하네스 마이어의 정치성향, 그의 지지자, 그의 건축 방식을 거부했다. 그로피우스의 ‘필수 연구’ 및 사용자 요구 사항에 대한 마이어의 접근 방식은 사용자의 요구를 연구하고 과학적으로 설계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이었던 것과는 달리, 미스 반 데어 로에는 효과적으로 자신의 미학의 채택을 의미하는 ‘지적 결정의 공간 구현’을 주장했다.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교장이 된 이후 자원과 교수의 부족과 싸웠고, 학교의 정신에서 정치를 제거하려는 노력을 했으나, 결국 나치가 1933년 집권한 이후 학교는 무기한 폐쇄됐다. 참여 예술가의 대부분은 나치 정권으로부터 추방되거나 도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우하우스는 폐쇄 이후 수십 년간 서유럽, 미국, 캐나다, 이스라엘 예술과 건축 동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 예로 2004년까지 이스라엘의 텔아비브에는 1933년부터 건립된 바우하우스 형식의 건물이 4000여 개가 되어 UN에 의해 세계 문화유산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다.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현대 건축 문화에 대한 영향력

    그로피우스는 미국으로 가서 하버드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에서 계속 일했으며,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미국 일리노이 공과 대학에서 건축 계획 및 설계를 담당하는 건축과 주임교수가 되어 20년 동안 많은 건축가를 배출했다. 그로피우스와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근대 건축의 4대 거장에 속할 만큼 영향력이 크고 넓었다.

    조셉 알버스(Josef Albers)는 노스캐롤라이나 블랙 마운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했다. 라즐 모호리-나기(Moholy-Nagy)는 시카고의 디자인 연구소에서 일을 했으며, 바우하우스의 학생이었던 맥스 빌(Max Bill)은 독일 울름에서 디자인 연구소를 개설했다.

    이들은 바우하우스의 철학을 확산시키는 데 모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라즐 모호리-나기와 조셉 알버스는 시장 지향적인 문화 속에서 현대적인 연구중심 대학의 환경에 적합한 철학을 재정립하는 데 특히 중요했다. 맥스 빌은 전 세계에 걸쳐 기하학적 추상주의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우하우스 정신에서 나온 작품은 충분한 토의를 통하여 나온 산출물이기에 창조적이었고,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사회와도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사회성과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 건축문화의 혜택은 이러한 바우하우스의 정신과 그 정신을 이어받은 수많은 예술가 및 건축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며, 그들의 부단한 노력이 지속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신동기 한미글로벌 엔지니어링 실장]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68호 (2016년 05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