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래머블 스포츠, 테니스에 홀리다
입력 : 2022.03.03 14:56:20
-
서울 삼성동에 사는 직장인 김선옥 씨(24)는 지난해 여름부터 8개월째 테니스 라켓을 쥐고 있다. 일주일에 두 번, 월요일과 목요일이면 퇴근 후 저녁 7시에 집 근처 실내 테니스장을 찾는다. 20분간 워밍업을 하고 20분간 개인 레슨을 받은 후 볼 머신 운동까지 마치면 온몸이 땀에 흠뻑 젖는다.
김 씨는 “직장 동료가 추천해서 테니스장을 찾았다”며 “처음 등록할 땐 일주일에 한 번만 레슨을 받았는데 욕심이 생겨 두 번으로 늘렸다”고 했다. 테니스가 왜 좋으냐고 물으니 “짧은 시간에 운동량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저절로 풀린다”며 “코트에 나설 때마다 운동복을 갖춰 입는 것도 나름의 매력”이라고 답했다.
팬데믹 이후 골프 돌풍에 이어 테니스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골린이 대신 테린이(테니스+어린이·테니스 초보자)를 선택한 이들 중엔 MZ세대가 도드라진다. 특히 2030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사실 테니스는 11세기 유럽 왕실에서 즐기기 시작한 이른바 귀족 스포츠였다.
세계 4대 메이저 대회인 호주오픈, 프랑스오픈, 윔블던, US오픈 등의 경기장엔 영국 왕실 인사나 빌 게이츠,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등 유명 인사들이 관람하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롤렉스, 리차드 밀 등 명품 브랜드들이 후원에 나서는 이유이기도 하다.키즈레슨을 받고있는 어린이들. 사진 판타지테니스.
오성호 차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이 부담스러운 상황에 개인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과거엔 귀족 스포츠란 이미지가 입문에 걸림돌이었다면 최근엔 오히려 고급 스포츠의 이미지가 어필하고 있고, 신체접촉이 거의 없고 운동량이 많아 팬데믹 상황에 딱 맞는 스포츠”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한테니스협회의 자료를 살펴보면 전국의 실내 테니스장은 2020년 600여 곳에서 지난해 700여 곳으로 늘었다. 대한테니스협회 측은 “지난해와 올 들어 프랜차이즈화된 실내 테니스장도 늘고 있다”며 “서울은 실내 코트가 늘고 있고 경기지역은 실외 코트가 늘었다”고 전했다.
서울 방배동에 살고 있는 직장인 윤성민 씨(31)는 “퇴근 후 오후 7시나 오후 8시 평일 2회 레슨을 받으려고 집 근처 실내 테니스장에 문의했더니 대기명단에 이름을 올릴 순 있지만 3개월 이상 기다릴 수 있다고 안내받았다”며 “직장 근처에도 알아봤지만 비슷한 상황이라 새벽반을 알아보고 있다”고 전했다.
김보헌 판타지테니스 대표는 “저녁 10시까지 1:1 혹은 2:1 레슨을 진행 중인데 현재 레슨 예약이 모두 찬 상황”이라며 “더 이상 예약을 받을 수 없어 대기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데 대기접수자가 100명을 넘긴 곳도 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실내 테니스장의 볼머신.
SSG닷컴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해 상반기 테니스와 스쿼시 용품 매출이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75%나 늘었다. G마켓에서도 2020년 상반기보다 지난해 상반기에 테니스용품(153%)과 테니스네트(57%), 테니스화(17%) 등의 매출이 증가했다. 최근 신한카드빅데이터연구소가 밝힌 올해 소비 트렌드를 살펴보면 테니스의 성장세는 더 뚜렷해진다. 우선 연구소 측은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억눌렸던 일상 회복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면서 단절됐던 일상생활이 해제되고, 고정관념과 경계를 여는 새로운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올해 소비 트렌드로 ‘UNLOCK’을 제시했다.
‘언록(U.N.L.O.C.K)’은 ‘Unbinding In-door(다시 문밖 라이프)’ ‘Neo-Family(네오팸의 시대)’ ‘Local Economy(로코노미의 부상)’ ‘Ordinary Premium(일상으로 스며든 프리미엄)’ ‘Cracking Border(사라진 경계 보더리스)’ ‘Kick off Sustainability(지속 가능한 삶을 위하여)’의 앞 글자에서 따왔다.
반면 골프는 14%, 서핑은 40%, 캠핑은 33% 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테니스와 클라이밍이다. 각각 157%, 183%나 껑충 뛰었다. 테니스장 이용 건수도 2020년 대비 2021년에 183%나 늘었다. 연구소 측은 “코로나로 인해 스포츠센터의 개업이 감소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테니스장은 오히려 코로나 상황에서 가맹점 개설이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이용하는 스포츠 센터보다 혼자 또는 소규모로 이용하는 실내 테니스장이나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실외 테니스장의 이용이 증가하며 신규 가맹점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 상암동에 거주하는 대학생 김미영 씨(21)는 “테니스를 시작한 지 6개월이 지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었는데 그 시기부터 테니스복장을 갖춰 입기 시작했다”며 “일상에선 주름치마를 입는 게 쉽지 않지만 코트에선 이게 일상이라 묘한 매력이 있다”고 전했다.
서울 구로구의 한 실내 테니스장. 사진 연합뉴스.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8호 (2022년 3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