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ar My Walking] 길에서 길을 묻다, 강원도 양양 낙산사 둘레길
입력 : 2020.07.06 16:28:10
-
“여긴 길에 이름을 붙여놨어요. 이 길 봐요. ‘근심이 풀리는 길’이네. 오랜만에 절에 왔으니 걱정 좀 내려놓고 갑시다.”
평일 오후, 낙산사에 들른 노부부가 근심이나 풀어놓고 가자며 걸음을 재촉한다. 두 손을 꼭 잡고 나선 품이 한 폭의 그림처럼 정겹다. 어쩌다 그 뒤를 좇다보니 손을 잡고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가 귀에 들어왔다.
“무릎은 좀 어때? 당신 말마따나 낙산사에서 근심 풀고 이번에 병원 가면 수술 일정 잡읍시다. 언제까지 아플 수만은 없잖아….”
좀 더 길을 걷다보니 이번엔 ‘마음이 행복한 길’이란 표지판이 나타났다.
“요즘 유치원 못가서 심술 났지? 여기 봐봐, 이 길을 걸으면 마음이 행복해진다고 쓰여 있네. 유치원 친구들과 놀지 못하는 건 아빠도 아쉬운데, 이 길 걸으면서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한번 생각해보자.”
“유치원 못가는 것도 싫지만 아빠가 회사 가는 것도 싫어. 사람 많은 곳에 가면 안 된다면서 맨날 지하철에 사람 많잖아.”
예닐곱은 됐으려나. 한쪽 손을 꼭 잡은 어린 딸의 한마디에 아빠는 벌써 입 꼬리가 귀에 걸렸다.
“올해는 가족 모두 건강하게 도와주시고, 우리 남편이 장담한 주식도 대박 나게 해주십시오.”
남편이 한마디 거든다.
“들고 날 때 미련 갖지 말고 계획대로 실천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잡아 주십시오….”
꿈이 이뤄지는 길을 지나 아래로 내려서니 이번엔 ‘설레임이 있는 길’이 기다리고 섰다. 잠시 생각해본다. 요즘 어떤 일로 마음이 설는지…. 강원도 양양의 낙산사에 다녀왔다. 그 둘레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살짝 숨이 차올랐다. 이 길의 초입엔 ‘길에서 길을 묻다’란 표지석이 객을 맞는다. 한번 되뇌는 것만으로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는 묘한 기운이 싫지 않았다.
한여름이다. 30℃를 훌쩍 넘은 기온이 버거운 계절이지만 피서(避暑)는 요원하기만 하다. 이럴 땐 그나마 두어 시간 산책할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이 제격인데, 강원도 양양에 자리한 낙산사만한 곳이 없다. 사찰을 중심으로 빙 둘러 난 둘레길을 걷다보면 잠시 일상의 근심이 사라진다. 동해바다의 짠 내 나는 바람까지 맞으면 짧지만 이런 피서가 없다.
낙산해변
그렇다고 바닷가에 와서 해변을 외면할 순 없는 일. 낙산해수욕장 산책부터 시작해 낙산사 후문으로 걸어 올라갔다. 바다는 세상이 어지럽던 말던 호기롭게 휘몰아친다. 동해안 해수욕장 중 경포대와 함께 명소로 꼽히는 낙산해수욕장은 울창한 소나무 숲을 배경으로 4㎞에 이르는 백사장이 압권이다. 해마다 1월 1일 새벽이면 사람들로 빼곡히 메워지는 일출 명소이기도 하다. 소나무 숲 사이사이에 나무 데크로 길을 내 산책하기도 좋다.
기와와 흙을 차례로 쌓고 곳곳에 원형 단면의 화강암을 넣었다. 지금도 조선시대 사찰의 대표적인 담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남해 금산의 보리암, 강화 석모도 보문사와 함께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도량으로 손꼽히는 낙산사는 그런 이유로 늘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원통보전, 보타전, 의상대 등 낙산사 내부의 길만 산책해도 풍광이 뛰어난데, 특히 높이 15m, 둘레 3m에 이르는 해수관음상에서 내려다본 낙산해변은 숨이 턱 막힐 만큼 광활하고 아름답다.
낙산사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해수관음상
아기자기한 오솔길부터 여럿이 걸을 수 있는 대로까지 낙산사 둘레길의 그 모양새가 다채롭다. 특히 걷는 이들이 지루하지 않게 곳곳에 이름을 붙였는데, 정문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의 ‘소나무길’이 직관적이라면 ‘마음이 행복해지는 길’ ‘근심이 풀리는 길’ ‘설레임이 있는 길’ ‘꿈이 이루어지는 길’ 등은 걷는 것만으로도 몸과 마음이 푸근해진다. 그 중 단연 압권은 의상대 정자에서 홍련암으로 이어지는 ‘소원이 이루어지는 길’이다. 바다와 맞닿은 이 길은 내리막에서 오르막까지 구불구불 이어진다.
-양양시외버스터미널에서 속초행 시내버스를 이용, 10분 후 낙산에서 하차
-속초에서 양양행 버스(9, 9-1)를 타고 낙산에서 하차
· 승용차 이용 시
올림픽대로→서울양양고속도로→설악로→양양IC→낙산사
[글·사진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8호 (2020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