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씨봉 자연휴양림…첩첩산중 참나무 맑은 기운에 그득한 孝心
입력 : 2014.06.27 11:11:53
-
한 달 전 찾아와 “고작 40대 중반인데 구조조정 대상이 된 동료들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모르겠다”며 수십 번이나 “남아있는 게 미안하다”고 곱씹던 이 차장은 그렇게 아버지를 배웅했다. 급작스런 사고였다.
장례식장을 찾은 떠나간 동료들은 그때나 지금이나 할 말이 마땅찮았는지 상주의 손만 비벼댔다. 그리곤 서로 울었다.
삼일장의 마지막 새벽은 유난히 달이 길었다. 함께 발인할 이들만 남은 시각, 먹는 둥 마는 둥 제대로 음식을 넘기지 못하던 그가 힘겹게 소주 한 잔을 털어 넣더니 중얼대기 시작했다.
“늘 마음만 있었는데… 그렇게 좋아하던 등산 한 번 같이 못 갔는데…
올 여름 휴가는 무슨 일이 있어도 모시겠다고 생각했는데…
손자 낳고 이 놈 재롱도 제대로 못 보여드렸는데… 같이 할 게 한두 가지가 아닌데… 근데 한 게 아무것도 없어요. 내가 해드린 게 아무것도 없어.
먹고 살기 힘들어서… 시간이 없어서… 그거 다 거짓말이야. 이렇게 술 마실 시간은 있는데 아버지 찾아갈 시간은 없었다고. 다 내가 한 일인데, 그래서 억울해… 다 내 잘못인데… 그걸 아는 데도 너무 억울해… 살아있는 동안 단 한 번도 볼 수 없다고 생각하니 답답해 미치겠어. 억울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던 하나밖에 없는 아들은 내내 억울했다. 꼭 해야지 다짐하던, 늘 생각만 했던 일들이 한꺼번에 떠올라 마음 깊이 사무쳤다. 무엇보다 6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 자신을 떠난 아버지가 야속하고 불쌍했다. 그래서 또 다시 억울했다.
장례식이 끝나고 며칠 후, 휴대폰 너머에서 천천히 말문을 연 그는 “그럴 줄 몰랐다”며 한숨을 내뱉었다. 툭 털어 내놓은 속내엔 억울함 대신 아쉬움이 뚝뚝 묻어났다.
“몰랐다는 말밖에 할 수가 없었어요. 얼마나 비겁한 변명인지… 부끄럽습니다.”
평지를 걷듯 산책할 수 있는 ‘치유의 숲’ 나무 데크로 조성된 휴식공간에 방문객의 바람을 담은 쪽지가 그득하다.
“오죽하면 이곳을 경기도의 알프스라 하겠어요. 오는 길이 꼬불꼬불해서 멀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오고 나면 열이면 열 잘 왔다고 하더라고.”
입구에 늘어선 밥집 처마 아래서 손님 기다리던 주인이 묻지도 않았는데 자문자답이다. 보기에도 널찍한 정문을 지나 휴양림으로 들어서니 아닌 게 아니라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잘 왔다’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2007년부터 총 67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 강씨봉 자연휴양림은 경기도 가평군 북면 적목리 일대 980ha에 조성된 자연공간이다. 2011년 개장 이후 휴양림 내에 자리한 7채의 숲속의 집과 9채의 산림휴양관은 주말 예약이 하늘에 별 따기일 만큼 인기 휴양지가 됐다. 그도 그럴 것이 쪽 고른 참나무가 쭉 뻗은 숲 곳곳의 숙소를 나서니 평평한 산책로와 넓은 나무 데크가 한가로웠다. 해발 400~450m의 공기도 도심과 분명 다르다. 한여름이면 수영장마냥 반듯하게 마무리한 공간에 계곡물을 채워 물놀이장으로 쓴다니 이 또한 매력적인 요소 중 하나다.
그렇다면 걷기 위한 길은 어떨까. 강씨봉을 비롯해 주변 고개를 돌아오는 등산 코스가 총 7개. 그중 1시간 반 코스(2.4㎞·제5코스)인 전망대로 걸음을 옮겼다. 계곡 옆에 오롯한 길은 경사가 완만했다. 아무 생각 없이 혹은 일행과 대화하며 천천히 보폭을 맞추기에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계곡을 빗겨나가면 살짝 다리가 당긴다. 차가 지나는 길이었는지 수풀이 낮아 볕 또한 강하다.
그래서 가족단위 방문객이 많았던가. 왠지 가슴 한쪽이 저릿했다.
[가평 = 안재형 기자 사진 정기택 기자]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46호(2014년 0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