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ar My Walking] 산책하듯 즐기는 설악의 색다른 코스 오색 주전골 자연관찰로
입력 : 2021.11.01 14:49:18
-
“옴마나, 저기 갔다 오는데 두어 시간이면 된다고? 설악산인데 그걸로 된다는 거야?”
50대 엄마가 깜짝 놀라며 물었다. 20대 초반의 딸이 답한다.
“여기가 설악산 구경하는 가장 쉬운 코스래. 높이 오르는 게 아니라 둘레길 걷듯 걷다보면 절경이 나온다던데 무엇보다 걷기 편해서 좋은 코스래요.”
다시 엄마가 묻는다.
“그럼 가는 데 1시간 돌아오는 데 1시간인가. 엄마 다리 아픈 거 알지? 그래서 등산도 접었잖아. 여긴 괜찮다는 거야?”
다시 딸이 답한다.
“그렇다니까. 나무 데크가 깔려 있기도 하고 평평한 구간이 대부분이라 애들도 걷기 편하대요. 여기서 단풍구경하자고 요 앞 호텔에서 묵었는데 여길 빼놓고 갈 순 없잖아요. 갑시다!”
살짝 차가워진 가을 공기에 새파란 색이 더해진 용소폭포를 즐긴 후 다시 돌아 나오는 이 탐방로는 말 그대로 자연관찰로다. 주전골 계곡의 자연을 보고 느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쉼이 되고 놀이가 된다. 그래도 등산인데 주변만 둘러보는 것 아니냐고? 그럼에도 이곳은 설악이다. 가을 설악에 아쉬움이라니.
“설악에서 이 주전골 단풍이 최고예요. 왜 그런지 아세요? 물이 좋으니 나무도 좋은 게 당연하지 않겠어요?”
이곳부터 데크가 놓인 무장애 길이 이어진다. 어린 아이도 아장아장 걷기 좋은 길이다. 걷다보면 가을 계곡의 기운이 차갑다 못해 시리다. 앞서 가던 이가 같이 가던 이에게 해주던 얘기를 옮기자면, 주전골 골짜기가 하도 깊어서 한여름에도 한기가 느껴진단다. 역시 가을 산엔 두툼한 옷이 제격이다.
고래바위, 상투바위, 새눈바위, 여심바위, 부부바위 등 이름 있는 바위들이 내뿜는 기운도 대단하다. 한 번 시선이 꽂히면 한참을 바라보게 될 만큼 풍광이 빼어났다. 그런데 이 경치 좋은 곳에 왜 쇠를 녹여 돈을 만든다는 주전(鑄錢)골이란 이름을 붙였을까. 지금도 설이 분분한데, 용소폭포 입구에 있는 시루떡바위가 마치 엽전을 쌓아 놓은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옛날 이 계곡에서 도둑 한 무리가 위조 엽전을 만들었다고도 전해지며 불리게 됐다고도 한다.
좀 더 걸음을 옮기면 8자 모양의 작은 웅덩이와 계곡이 어우러진 선녀탕이 눈에 들어온다. ‘선녀와 나무꾼’에 등장하는 바로 그곳이라는데, 밝은 달밤에 선녀들이 내려와 날개옷을 만석 위에 벗어놓고 목욕하고 올라갔다 하여 선녀탕이라 부른다는 전설이 깃든 곳이다. 여기서부터 살짝 숨이 가빠진다. 길이 가파른 게 아니라 간간이 산길이 이어진다. 얼마 안 가 나타나는 2개의 커다란 돌은 금강문이다. 불교에서 잡귀가 미치지 못하는 강한 수호신이 지키는 문을 금강문이라 하는데, 이 두 개의 커다란 돌에 소원을 말하고 통과하면 이뤄진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곳이다.
돌아가는 길이 벌써부터 버겁게 느껴진다면 기억해두시길. 오는 내내 뒤돌아보지 않았다면 전혀 새로운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는 걸….
만경대
동서울터미널에서 오색리행 버스를 타거나 고속버스, 시외버스를 이용해 양양버스터미널에 도착하면 오색리행 버스가 하루 11회 운행된다. 오색리에서 주전골까지는 도보로 5분 거리다.
▷승용차
서울→홍천→인제(44번 국도)→원통→한계령→오색그린야드호텔→주전골 입구
[안재형 기자 사진 매경DB, 설악산국립공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4호 (2021년 11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