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규식 특파원의 일본열도 통신] 동일본 대지진 10년, 아직도 4만 명 피난생활… 피해복구에 39조엔 들였지만 복구 지지부진
입력 : 2021.03.29 11:02:55
-
지난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 미야기현 미나미산리쿠초의 옛 마을 방재청 주변으로 사이렌소리가 울리자 모여 있던 사람들이 일제히 묵념을 한다. 정확히 10년 전 같은 시간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과 이에 따른 쓰나미(지진해일)로 43명이 희생된 곳이다. 참석자 중 한 명은 “지금도 친구의 죽음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며 “친구의 몫까지 잘 살아야겠다”며 울먹인다.
같은 시간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의 한 초등학교 자리에서는 희생자의 가족 등이 손을 모아 기도하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 때 어린이와 직원 등 84명이 사망했거나 행방불명된 곳이다. 희생자의 부모는 “방재교육이 제대로 됐었다면, 지켜줄 수 있었을 텐데”라며 비통해한다. 이와테현의 미야코시 한 지역의 방조제 위에서 주민들이 181개의 풍선을 날렸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10주년을 앞둔 3월 3일 일본 후쿠시마현 도미오카마치에 오염제거 작업으로 수거한 토양과 풀 등을 담은 커다란 검은 자루가 쌓여 있다.
10년간 투입된 정부예산이 38조8000억엔에 달하는 셈이다. 올해부터 5년간은 제2부흥·창생기간으로 1조6000억엔 정도가 투입된다. 그동안 재해공영주택 3만 호와 고지대 등으로의 이전 비용을 정부가 부담하는 ‘재해집단이전’ 1만8000호가 공급됐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피해가 컸던 3개 현(미야기·이와테·후쿠시마)에서 정비한 제방은 386㎞로 도쿄~오사카 거리랑 비슷하다. 이들 3개 현의 19개 기초지자체에서 주택지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대를 높이는 데 쌓아올린 흙만 도쿄돔 27개 분량에 달하는 3359㎥이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지 10년이 돼가며 복구작업률은 높아져 왔지만, 피해지역의 상흔은 남아있다. 떠났던 주민들이 돌아오지 않아 3개 현의 해안지역에서 인구가 줄어든 것이 이를 보여준다. 이와테현의 해안 12개 지역의 지난해 인구는 동일본 대지진 전인 2010년에 비해 16.9% 줄어든 23만5198명에 그친다. 후쿠시마현 해안 10개 지역 인구도 11% 줄어 47만7834명에 그쳤다. 미야기현의 15개 지역의 인구는 1% 줄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피난지시가 내려졌던 지역은 피난지시구역에서 해제된 후에도 주민들의 복귀가 많지 않다. 후쿠시마현 도미오카마치의 경우 동일본 대지진 전 1만5830명이었던 인구는 현재 1576명에 그친다. 산술적으로 보면 돌아온 주민이 10%가량에 그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지난해 이 지역 주민이었던 사람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돌아가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이 65.7%, 돌아가겠다고 한 비율은 17.5%였다. 후쿠시마현 미나미소마시의 인구는 동일본 대지진 전 1만4281명에서 지금은 4305명이다. 인구회복률은 30.1%이다. 후쿠시마 원전도 동일본 대지진의 상처이다. 사고 수습에 22조엔을 배정하고 10년을 수습해왔지만, 폐로(원자로의 해체)작업은 늦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은 늘 수도 있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폐로작업의 목표로 잡은 건 2011년 말부터 30~40년(2041~2051년).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은 방사능 수치를 낮추는 제염작업이나 일부 사용 후 연료봉을 반출하는 작업 등을 진행해왔다. 당초 올해부터 폐로작업의 핵심 중 하나인 연료 데브리 반출을 시작할 계획이었는데, 작년 말 이를 1년 미루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로 데브리 반출에 사용될 원격조정 로봇팔의 제작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데브리(Debris)’는 잔해를 뜻하는 프랑스어다. 연료 데브리는 녹아내린 연료와 금속 등이 엉겨 붙은 방사성 물질 덩어리로 고선량의 방사선을 내뿜는다. 후쿠시마 제1원전 1~3호기에는 800~900t의 연료 데브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는 7월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일본 정부가 폐로작업만큼 고심하는 게 하루 140t가량 쌓이는 ‘오염수’ 처리문제이다. 도쿄전력은 사고 이후 뜨거워진 노심을 식히기 위해 원전 내부로 많은 냉각수를 부었고 이후 빗물·지하수가 흘러들면서 방사성 물질이 섞인 오염수가 하루 140t가량 나오고 있다. 도쿄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를 통해 오염수에서 62종의 방사성 물질을 정화시킨 뒤 원전 용지 내에 건설된 1000여 개의 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수습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원전을 계속 활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진은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모습.
[김규식 특파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27호 (2021년 4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