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욱 특파원의 일본열도 통신] 역사적 논란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가보니 “끌려간 한국인에 대한 가혹행위 없었다” 반복
입력 : 2020.07.28 16:48:34
-
“당시 대사가 뭘 몰라서 그런 말을 했다.”
7월 초 방문한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이하 센터)에서 만난 가이드 나가무라 요이치 씨는 군함도로 유명한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탄광에서 가혹행위나 차별은 없었다는 말만을 되풀이했다. 센터는 군함도를 비롯한 일본 근대 산업화 관련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유네스코에 설립을 약속한 곳이다.
‘대사의 말’이란 2015년 세계문화유산 지정 당시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가 센터 설립을 약속하며 한 발언이다. 사토 당시 대사는 “1940년대 여러 장소에서 수많은 한국인 등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일했다”며 “희생자들을 기억하기 위한 정보센터 등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지금도 클릭 한 번이면 외무성 홈페이지서 확인할 수 있는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지만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선 통하지 않는 얘기였다.
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 관계자들이 지난 3월 31일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에 마련된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개관을 기념해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센터는 3월 개관식을 가졌지만 코로나19로 인해 6월 15일이 돼서야 일반 공개가 시작됐다. 일반 공개 후에도 하루 3회, 회당 최대 5명으로 인원을 한정해 예약제로 진행된다. 센터 측에선 기자가 방문한 날(7월 1일) 전후로 한국 언론 관계자를 초청했다고 밝혔다. 관심사가 군함도 등에 몰릴 것을 고려해 하시마초중등 동창회장 이시가와 동 씨 등 해설을 담당할 추가 인사들도 배치했다. 관람 시간 내내 나가무라 씨를 비롯한 안내 인력과 경비 인력이 동행했다.
국내 언론을 통해 잘 알려진 대로 센터에서 사토 전 대사가 약속했던 희생자를 위한 추모를 찾기는 힘들었다. 희생자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 것은 입구에 세워진 세계산업유산 등록 연표의 맨 아래 사토 전 대사의 발언이 일본어와 영어로 적힌 정도였다. 일부러 확인하기 전에는 쉽게 지나칠 수밖에 없는 위치다. 사토 전 대사의 발언과 달리 현장 가이드로 나선 이들의 말을 듣다보면 이곳이 희생자를 위한 공간인지 의심스러워지는 것이 현실이었다. 이시가와 씨는 센터 내 관련자료 서가에 꽂혀 있는 재일조선인들의 군함도 관련 증언록에 대해 “신뢰하기 힘든 말로 가득 찬 책”이라고 비난했다. 서가에 꽂힌 책 중에서 강제노동 등에 대한 증언이 담긴 책은 이 한 권뿐이었다. 이시가와 씨는 군함도 내 가혹한 노동에 대한 증언을 해온 구연철 씨에 대해서도 “군함도에 살았다는 사람들 중에 그를 기억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며 의혹을 제기하기에 바빴다. 나가무라 씨는 “구 씨와 만나게 해달라는 요청을 다양한 경로로 했다”며 “한번 만나서 누구 말이 맞는지 따져보고 싶으니 꼭 보도해 달라”고 말했다.
도쿄 신주쿠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
실무부처에서는 나가사키 교회군 및 천주교 관련 유산 등 종교시설을 문화유산으로 등재하자는 안을 마련했지만 총리관저에서는 가토 센터장의 의견대로 산업유산을 밀어붙였다. 가토 센터장은 이를 추진할 ‘산업유산 국민회의’를 거창하게 꾸렸다. (나가사키와 아마쿠사지역의 천주교 시설 등은 2019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가토 고코 산업유산정보센터장
일부 일본 정치인들의 우경화라고만 말하기엔 찜찜함이 남는다. 세계문화유산 등록 과정과 이후 행보에서 보여주듯 이들의 행보는 더 대담해지고 있다. 이들만 비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센터 가이드까지 나서서 “한국은 증거를 제시하라”며 펼치는 공세에 대응할 수 있는 과거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기록, 교육이 더 필요하다.
[정욱 특파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9호 (2020년 8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