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욱 특파원의 일본열도 통신] 지지율 추락 포스트 아베 관전법, 親아베 기시다 후미오 vs 反아베 이시바 시게루로 압축
입력 : 2020.06.29 14:45:58
-
‘아베 1강’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굳건했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입지가 날로 흔들리고 있다.
코로나19 대응 부진으로 업무 추진력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가기 시작한 상황에서 잇따르는 스캔들이 억눌려있던 여론의 불만을 폭발시킨 형국이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에서는 집권여당인 자민당의 총재가 총리가 된다. 현재 아베 총리의 자민당 총재 임기는 내년 9월까지다. 이미 자민당 당규를 바꿔 3연임까지 한 상황이라 추가적 연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일본 언론사들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내각 지지율도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6월 조사에선 내각 지지율이 2차 집권(2012년 12월) 이후 최저치와 동일한 38%를 기록했다. 아사히신문 여론조사서도 내각 지지율은 29%로 기존 최저치와 동일했다. 내각 지지율과 정당 지지율 합산이 50% 이하가 되면 정권 교체가 이뤄진다는 이른바 ‘아오키 룰’의 기준에도 근접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기시다 정조회장이 기대하는 것은 이른바 ‘선양(禪讓)’이다. 선양이란 본래 왕이 덕망 있는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준다는 뜻으로 후임자를 지명해 총리직을 승계해준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런 구도가 가능한 것은 총재 선출 방식 때문이다.
자민당 소속 의원(1인 1표)표와 대의원(득표수 대비 할당)표를 각각 반씩 더해 선거를 진행한다. 과반 이상을 얻은 후보가 없을 경우 1~2위를 대상으로 결선투표가 치러진다. 이 때는 국회의원만 참여한다. 애매한 상황일수록 국회의원의 표가 중요해지는 셈이다. 2012년 총재선거에서 이시바 전 간사장은 1차 투표에서 1위를 기록했지만 결선투표에선 아베 총리에 졌다.
8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비슷하다. 예상 국회의원 득표수를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은 파벌 규모 파악이다. 과거에 비해서는 영향력이 떨어졌다지만 총재선 등에선 파벌의 영향력이 여전하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자민당 정조회장
다만 아베 총리에 대한 국민적 지지도가 떨어질수록 파벌 간 동맹에도 균열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조용히 아베 총리의 정책에 대한 찬성 의견만 밝히는 기시다 정조회장으로 국민적 지지를 받을 수 없고 이는 의원 선거에서 패배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현재 중의원 임기는 내년 10월까지다. 총리가 해산을 결정하면 그 전에도 선거는 이뤄질 수 있다. 다만 아베 총리나 자민당 입장에선 내각이나 여당 지지율이 급락하는 상황에서 선거를 치르기는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 결국 새 총재를 전면에 내세운 선거가 치러질 공산이 크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이 틈을 파고들고 있다. 니카이 간사장을 비롯한 각 파벌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젊은 의원들과는 의원숙소에서 술잔을 기울이는 등 적극적으로 외연 확장에 나서고 있다. 월간지 문예춘추(7월호)와 인터뷰에서 “내가 주장하는 지방분산, 내수주도형 국가상에 대해 니카이 간사장도 동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전 간사장은 지난 8일엔 니카이 간사장을 만나 9월 열리는 자신의 파벌 행사에서 강연을 요청하기도 했다. 니카이 간사장 역시 만남 후 “(이시바 전 간사장은) 더 높은 곳으로 향하길 기대하는 별 중의 하나”라고 화답했다.
이시바 시게루 전 일본 자민당 간사장
[정욱 특파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8호 (2020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