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다시 그린 상권지도 뜨는 거리, 뜨는 공식은] MZ세대가 Pick한 핫플레이스3 성수, 용산, 신사·논현… 공실률 제로
입력 : 2022.07.01 14:23:31
-
코로나19가 잦아들면서 서울 전역의 상권이 살아나고 있다. 성수·이태원·가로수길 등 서울 도심의 주요 상권에서는 임대 물건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팬데믹 이전으로 회복하고 있다. 특히 내국인의 보복소비를 대거 흡수하고 있는 이른바 ‘핫플(핫플레이스)’은 공실이 사실상 제로일 정도로 화려하게 부활하는 모습이다. 매경럭스멘에선 빅데이터 기업인 나이스지니데이터의 2019년 4월과 2021년 4월, 올해 4월 주요 상권의 매출 데이터와 서울시의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엔데믹에 뜨는 거리 3곳을 선정했다. 성수, 용산, 신사·논현이 그곳이다. 핫플 3곳의 공식은 바로 MZ다.
업계에선 MZ세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은 외부 변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게 정설이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성수동에는 엔터테인먼트와 패션 기업이, 신사 쪽은 트렌디한 식음료 브랜드 및 하이스트리트 패션 브랜드 등이 입주해 소비가 선순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전국에서 가장 임대료가 높은 곳으로 명성을 날리던 명동은 코로나19 시대에 몰락한 대표 상권이 됐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물론 내국인 나들이객들로 북적였던 인사동과 삼청동 역시 유동인구가 많이 줄어들었다. 실제 명동은 공실률 50.3%로 전 분기보다 7%포인트 높아졌다. 광화문(21.7%)은 2.4%포인트, 종로(9.8%) 역시 1.1%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공실이 늘어나면서 임대료도 떨어지고 있다. 명동의 ㎡당 임대료는 15만2700원으로, 전 분기 대비 4.2%,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4분기 대비 무려 41.7% 내렸다.
[김병수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42호 (2022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