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욘드 코로나 서비스 로봇 시대 열렸다] Part Ⅲ 로봇 산업 과제는 무엇 | 자동화 가장 빠른 대한민국 로봇 기술은 미국과 2~3년 격차
입력 : 2022.01.27 11:12:05
-
SF 영화에 등장하던 로봇은 더 이상 인간의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오브제가 아니다. 2022년 현재, 로봇은 인간의 상상력에서 태동해 기술의 진화를 거쳐 제품과 서비스로 거듭났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차, 가상현실(VR), 5세대 이동통신(5G) 등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은 현실과 가상의 세계를 융합하며 로봇을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끌어올렸다.
앞서 나열한 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을 예로 들어보자. 사물인터넷이 데이터를 수집하면 이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한다. 이 정보를 5세대 이동통신(5G)이 실시간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가 바탕이 된 명령과 판단을 로봇이 실행하게 된다. 향후 로봇 산업이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른 이유다.
밀턴 게리 IFR 회장은 “로봇 밀도는 전 세계 제조업의 자동화 도입 정도를 추적하는 바로미터”라며 성장 속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시장조사기관 모도 인텔리전스는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가 2020년 277억3000만달러(약 32조원)에서 2026년 741억달러(약 87조원)로 성장한다고 예측했다. 2021~2026년 로봇 산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17.45%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로봇산업협회가 발표한 ‘2020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를 살펴보면 2020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조865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조9443억원) 대비 2.7% 감소한 수치다.
IFR의 발표 자료를 살펴보면 2020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111억달러(약 13조2146억원)로 전체 로봇 시장에서 43.5%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약 8577억원(2020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기준)으로 전년(6358억원) 대비 34.9% 늘었다. 특히 개인 서비스 로봇보다 전문 서비스 로봇의 성장세가 도드라진다. 2020년 전문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4611억원으로 전년(3199억원) 대비 44% 늘었고, 개인 서비스 로봇 시장 역시 25.5% 증가했다.
자율주행 배달 로봇 로보티스
2020년 국내 로봇 생산 규모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5조280억원, 수출은 4.5% 증가한 1조1290억원을 기록했다. 품목별 지표를 살펴보면 ‘제조업용 로봇’의 매출은 2조8658억원(전년 대비 2.7% 감소), 수출은 8756억원(전년 대비 4.8% 증가), 수입은 3947억원(전년 대비 2.0% 감소)으로 집계됐다. ‘서비스용 로봇’의 매출은 8577억원(전년 대비 34.9% 증가), 수출은 1041억원(전년 대비 1.0% 증가), 수입은 375억원(전년 대비 162.2% 증가)으로 모두 2019년보다 증가했다.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의 매출은 전년 대비 0.3% 감소한 1조7501억원, 수출은 5.1% 증가한 1491억원, 수입은 1270억원을 기록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 해 매출이 10억원도 안 되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은 R&D에 매진하다보면 인력을 놓칠 수밖에 없다”며 “안정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이나 규제 해소, 인력 수급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로봇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력은 2020년 기준 총 3만786명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지만 ‘개인 서비스용 로봇’ 인력은 전년 대비 21.2%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분야별로는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가 1만3718명, ‘제조업용 로봇’이 1만1425명, ‘전문 서비스용 로봇’ 3467명, ‘개인 서비스용 로봇’이 2176명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에 열린 ‘2021 로보월드’ 개회식에서 강귀덕 한국로봇산업협회장은 “바로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그럼 현재 국내 로봇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업계에선 미국과 EU가 최고 수준의 로봇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산업용 로봇과 로봇 부품 분야에선 일본을 선두주자로 꼽고 있다. 세계 로봇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후발주자였던 중국은 영상과 AI 등의 분야에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하며 이미 한국을 앞선 상황이다.
두산로보틱스의 모듈러 로봇카페
로봇 분야 중소기업의 한 임원은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서비스 로봇 분야의 경우 정부의 규제 혁신이 성장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며 “K-푸드와 콘텐츠가 세계 중심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지금, 로봇 산업에 대한 규제 샌드박스 등 다양한 정책을 적용해 한국이 테스트베드가 된 다양한 로봇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면 2~3년의 기술 격차는 빠른 시일 내에 역전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7호 (2022년 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