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usiness Inside] 사모펀드 배상 지연에 곤혹스런 시중은행
입력 : 2020.06.26 09:38:03
-
사모펀드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투자자들이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형사 고소를 진행키로 하면서 판매사 중 하나인 하나은행 측이 곤혹스런 입장에 처해 있다.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는 현재 원금의 절반 이상 손실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투자자들 중 상당수는 은행에 정기예금을 맡기러 갔다가 프라이빗뱅커(PB) 제안을 받고 문제의 상품에 투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이 받은 자료 등에는 ‘이탈리아 국가 부도나 국민건강보장 권리가 담긴 헌법이 바뀌는 등의 위기가 오지 않는 한 부채는 상환됨’ 등이 기재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만기가 13개월’ ‘무조건 13개월 안에 조기 상환된다’ 등의 설명을 들었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 만기는 2년1개월 또는 3년1개월이다.
상황이 이렇자 하나은행 이사회는 지난 4월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투자자들에게 두 가지 선지급안을 제시하기로 결정했다. 첫째 해당 펀드 수익증권의 현재 기준 가격 상당액을 지급하고 전체 수익증권을 인수하는 방안, 둘째 투자원금 50%를 가지급하고 나머지를 정산하는 방안 등이다.
첫 번째 안은 일부 자산운용사의 반대로 무산된 상황이다. 금투업계의 한 관계자는 “1안의 경우, 원금 대비 70~75%를 지급하고 종결하는 구상인데, 이 경우 하나은행이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어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된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 측은 2안을 투자자들에게 제시할 예정이지만, 투자금의 절반 정도를 주는 안인 만큼 투자자들의 반발이 크다. 이 펀드에 투자했다는 한 인사는 “하나은행이 제시한 안은 투자자들이 수용 시 형사 고소를 하면 안 된다는 조건이 붙는 것으로 알고 있다. 투자자들은 계약의 중요한 내용에 대한 착오가 생겼기 때문에 (하나은행 측이) 100% 환급하지 않으면 법적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금융권 관계자는 “하나은행 측이 이탈리아 헬스케어 건뿐 아니라 라임과 디스커버리펀드 판매까지 걸려 있어, 이래저래 곤혹스런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병수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8호 (2020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