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usiness Inside] 11분기 연속 적자,정부에 손만 벌리는 쌍용차

    입력 : 2020.01.29 11:20:33

  • 3년간 적자다. 분기로 나누면 무려 11분기나 된다. 누적 손실만 3000억원. 상황이 심각해지자 대표이사 이하 임직원들이 상여금을 반납했다. 학자금, 의료비, 경조비 등 복지 혜택도 중단하거나 축소하겠다고 나섰다. 이러한 움직임에 노조도 동참한다. 연말 상여금 200%와 성과급을 반납했다. 쓰러져가는 회사를 살리기 위한 눈물겨운 자구책이다. 문제는 어찌하겠다는 알맹이가 없다는 점이다.

    쌍용차 이사회 의장인 파완 고엔카 마힌드라 사장이 지난 1월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건물로 들어서고 있다.
    쌍용차 이사회 의장인 파완 고엔카 마힌드라 사장이 지난 1월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건물로 들어서고 있다.
    쌍용차는 2016년 티볼리 출시 이후 이렇다 할 신차(新車)가 없었다. 옆집은 자율주행기능까지 장착한 신차들이 즐비한데 곰탕 우려내듯 매년 같은 차종, 비슷한 모델뿐이었다. 악화된 경영상황이 상여금이나 성과급 반납으로 해결될 리 만무하다. 결국 쌍용차의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의 파완 고엔카 사장이 최근 방한해 KDB산업은행 등을 찾아갔다. 쌍용차에 2300억원을 투입할 테니 산업은행이 중심이 돼 한국정부가 도와달라는 게 그의 요구였다. 일각에선 오는 7월에 돌아오는 대출금 연장도 요청했다는 말이 나온다. 그런데 정작 어떻게 쌍용차를 살리겠다는 말은 없었다.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일자리에 민감하다는 걸 간파했는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도 찾아갔다. 완성차 업계에선 “2년 전 GM의 경우와 비슷하지만 당시 산업은행은 한국지엠의 2대 주주였고 쌍용차와는 아무런 지분관계가 없다”고 말한다. 한 완성차 업체 임원은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쌍용차 지분 74.65%를 가진 대주주 마힌드라가 책임질 수밖에 없다”며 “국내 기업들은 모두 그렇게 하고 있고, 손을 벌릴 땐 확실한 자구책이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3호 (2020년 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