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호현의 IT 경제] 미래의 자연과 인간의 도시…스마트시티는 새로운 현상인가?

    입력 : 2016.09.02 16:29:41

  • 최근 스마트시티가 국가 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선정되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와 개념은 사실상 구체적이지 않다. 그러함에도 국가가 미래 희망을 위한 성장 동력의 하나로 정한 것은 도시는 그 자체가 거대한 삶의 기반이자 모든 미래 기술의 집합체가 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스마트시티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저감 및 생태환경을 개선하는 미래도시”로 정의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기본적으로 현재 도시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출발한다. 도시인구의 급증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교통 혼잡, 인프라 노후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UN은 지난 2014년 세계 도시화 전망 보고서에서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30억 명 이상의 인구가 도시로 유입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향후 20년간 30만 명 규모의 신도시가 매년 250개씩 건설될 것이다. 그 시장 규모 또한 연간 1조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은 2015년 스마트시티 선도 계획을(Smart Cities Initiative) 발표하고 1.6억 달러의 R&D 투자를 하고 있다. EU는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 2013년 3억6000만유로를 투자하는 등 그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 신형도시화 계획에 따라 500개 스마트시티 사업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2020년까지 스마트시티 R&D 투자에만 500억위안(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시티 전체에는 1조위안(약 182조원)의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영국 또한 스마트시티 세계시장의 10% 점유를 목표로 2012년부터 오픈데이터 미래시범도시(Open Data, Future Cities Demonstrator)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인도는 2015년 100개 스마트시티를 2022년까지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19조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가깝게는 일본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4개 스마트시티 시범 지역(요코하마, 교토, 도요타, 기타큐슈)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을 포함한 개도국에 이르기까지 많은 국가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시장 선점을 위해 대규모 재원을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시티는 한마디로 기존 도시에 친환경 인프라, 정보통신기술, 문화 그리고 자연이 결합되는 새로운 개념의 거대한 상품이다. 도시가 갖고 있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그 출발점을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도국의 경우는 급격한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선진국은 도시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차원에서 그 기점을 삼을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 건설에는 막대한 규모의 자금이 소요된다. 과거처럼 도로나 전기, 가스 등 기본 인프라 시설에 사람이 살 주택을 짓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스마트시티에는 이들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해주고 도시에 살고 있는 주민의 삶을 개선시켜줄 첨단 기술이나 첨단 운영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각국이 막대한 자금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난 2000년 초반부터 u-City 계획을 통해 상당한 수준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확보해 왔으며 최근에는 스마트시티 실증 사업을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핵심 내용은 이렇다. 첫째, 개별 인프라 연계를 통한 요소기술의 고도화다. 둘째, 도시 빅데이터 통합 관리 공개를 통한 서비스 질 향상이다. 셋째, 연구개발 국내 실증 및 해외진출 기반 강화로 요약된다. 개별 인프라 연계를 통한 요소기술의 고도화 부문에서는 개별 건물 위주의 에너지 관리를 주변 시설물까지 확대하는 체계, 교통-시설물 관리-재난 안전을 연계하여 통합 체계 등과 같은 도시의 다양한 인프라를 연계하는 기술이 개발의 핵심이다. 도시 빅데이터 통합 관리 공개를 통한 서비스 질 향상 부문에서는 개별 분야별로 단절된 도시 관리 데이터를 상호 연계하여 빅데이터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 전 과정을 지원하는 ‘지능형 통합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공공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개발 국내 실증 및 해외진출 기반 강화 부문에서는 실증을 통해 국내 스마트시티를 고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기술과 기존 기술을 결합하여 해외국가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해외진출 표준 모델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 각국의 스마트시티 계획은 우리 인간의 도시 개발 역사에서 볼 때 결코 새로운 시도는 아니다. 멀게는 중국 장안(현 서안)의 도시 계획과 개발에서도 그 원형을 볼 수 있다. 당시 기술로는 최고 수준의 도시 계획과 기술 개발을 통해 도시를 완성했으며 오랫동안 그 모델이 서울을 비롯한 아시아의 수도 개발의 모델이 된 사례가 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도시 개발은 항상 인간에게 새로운 수요를 유발한다. 현대적 의미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의 활성화에 큰 몫을 차지한다. 정부가 2025년까지 해외 건설 수주에서 스마트시티 비중을 30% 수준까지 올려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만들려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스마트시티는 자연, 사람과 기술

    그러나 정부의 이번 스마트시티 계획은 그 출발 개념에서 몇 가지 부족한 측면이 있다. 먼저 지나치게 한두 가지 유행하는 기술에 초점을 두었다는 점이다. 빅데이터 기술이 그렇고 정보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이나 솔루션 등 단순한 기술개발이 그 예다. 그리고 도시라는 실체적인 접근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도시는 다양한 기술을 근간으로 하지만 결국에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어떻게 이뤄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우리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기술을 통해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한다. 그래야 정부가 목표로 하는 스마트시티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수출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중국 장안의 도시 계획에서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거대한 시장(동시와 서시)을 만들고 도처의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상품을 교환하고 도시에서 새로운 일상을 여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 또한 거대한 정원 구조를 둠으로써 인간의 기술과 자연을 조화시키는 도시의 틀을 구현했다.

    현대 도시의 문제는 지나치게 첨단 기술을 동원한 물리적인 기술 구현에서 유래된 부작용이 대부분이다. 도시의 초고층 빌딩군에서부터 도시인 잠자리를 위한 아파트 등이 문제의 시작이다. 어쩌면 이러한 문제를 벗어나게 하는 것이 스마트시티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도시인에게 자연의 삶을 돌려주어야 한다. 여기에 첨단 기술을 동원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인에게 인간의 삶을 돌려주어야 한다. 사람과 사람이 도시라는 공간을 인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교류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 말이다. 그래야 우리가 추구하는 스마트시티를 세계 수출 상품으로 만들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 동력으로 끌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도시는 그 수명이 그다지 길지 않다. 먼 안목은 삶의 핵심이 무엇인지와 여기에 자연을 어떻게 돌려줄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된다. 기술이 아닌 자연과 사람이 있는 스마트시티 건설이 핵심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한호현 (공학박사)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AICF포럼 의장]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72호 (2016년 09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