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장원의 클래식 포레스트] 우크라이나 사태가 클래식 음악계에 미친 여파 ‘러시아 보이콧’의 딜레마에 빠진 사람들

    입력 : 2022.03.31 16:30:22

  • 아마도 21세기에 벌어진 가장 충격적인 참화 가운데 하나로 역사에 기록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클래식 음악계에도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러시아는 위대한 작곡가와 연주가를 다수 배출한 유수의 ‘클래식 음악 강국’이고, 최근까지도 수많은 러시아 출신 음악가들이 세계 각지의 공연장을 누비며 각광받아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의 조국이 돌이킬 수 없는 참사를 일으킨 지금, 러시아 음악가들의 국제적 위상과 활동은 중대 기로에 놓여 있다. 전 세계 각계각층에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러시아 보이콧’ 열풍이 음악계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기 때문이다.

    ▶퇴출된 차르, 잠적한 프리마돈나 러시아 보이콧과 관련하여 클래식 음악계에서 가장 먼저 화제에 오른 인물은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의 총감독 겸 음악감독인 발레리 게르기예프는 평소 푸틴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로 유명하다. 2013년 푸틴의 세 번째 대선 출마 당시 TV에 출연하여 지지 연설을 했고,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때는 문화예술계 인사 19명과 함께 지지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가 ‘러시아 음악계의 차르’로 군림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새로운 오페라 극장과 콘서트홀을 세울 수 있었던 것도 푸틴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많다. 그런 푸틴과의 인연 때문인지 게르기예프는 이번 사태 발발 이후 ‘반전 메시지’를 내달라는 각계의 요구에 침묵으로 일관했고 그 결과는 참혹했다.

    당초 게르기예프는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진행될 오스트리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미국 투어를 지휘하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뉴욕 카네기홀에서의 첫 공연 직전에 전쟁이 터졌고, 빗발치는 비판 여론에 카네기홀과 빈 필은 공연 전날 게르기예프와 협연자 데니스 마추예프(피아니스트)의 하차를 발표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음악감독인 캐나다 지휘자 야닉 네제 세갠과 베를린에서 콜을 받고 7시간 만에 비행기를 탄 우리나라의 조성진이 그들을 대신했다.

    안나 네트렙코
    안나 네트렙코
    게르기예프의 비운은 계속됐다. 이탈리아 밀라노 시장이자 라 스칼라 극장 이사회 멤버인 주세페 살라가 그에게 우크라이나 사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지 않으면 3월에 예정된 차이콥스키 오페라 <스페이드 여왕> 공연을 지휘할 수 없다고 통보했던 것이다. 독일 뮌헨과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도 비슷한 요구가 날아들었다. 게르기예프는 2015년부터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지휘자로 활동했고, 로테르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수석지휘자로 재임한 다음 명예지휘자로 추대되어 인연을 이어오는 한편 자신의 이름을 내건 페스티벌도 주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3월에 밀라노에 갈 수 없었고 뮌헨과 로테르담에서는 해촉 통보를 받았다. 또 스위스 베르비에 페스티벌의 음악감독직에서도 물러났고, 5월로 예정했던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의 뉴욕 공연도 당연히 취소되었다. 게르기예프는 이제 더 이상 ‘세상에서 가장 바쁜 지휘자’가 아니다. 비판의 화살은 게르기예프가 육성한 스타 소프라노이자 역시 푸틴 지지를 공공연히 천명해온 세계 최정상의 프리마돈나 안나 네트렙코에게도 쏟아졌다. 2월 25일로 예정했던 덴마크 공연이 취소된 직후 네트렙코는 전쟁 반대와 유감 의사를 피력했지만, 푸틴에 대한 지지 철회는 거부했기에 비판 여론은 잦아들지 않았다.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장인 피터 겔브는 ‘메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중 한 명’인 그녀를 잃는 것은 ‘크나큰 예술적 손실’이라면서도 퇴출을 선언했고, 그 직전에 그녀는 향후 모든 일정에서 자진 하차한다고 발표했다. 그런가하면 1990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우승자인 피아니스트 보리스 베레조프스키는 러시아 TV 방송에 출연하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책임이 서방세계에 있다며 러시아군이 키이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가 글로벌 매니지먼트 계약이 끊겼다.

    사진설명
    ▶그들의, 그리고 우리의 딜레마 아마도 이런 식의 ‘러시아 보이콧’ 현상은 당분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려스러운 것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러시아의 모든 음악가의 활동을 배척하거나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점이다. ‘전쟁 반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캐나다에서의 리사이틀이 취소된 피아니스트 알렉산드르 말로페예프의 사례는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샀다. 2014년 영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러시아 피아노계의 차세대 유망주로 떠오른 그는 이제 겨우 스무 살이다. 또 5월 개막을 앞두고 러시아인의 참가를 불허하기로 결정한 아일랜드 더블린 국제 피아노 콩쿠르의 처사에 대해서도 지나치다는 반응이 많다. 오세티아 출신 지휘자 투간 소히예프의 사례는 지금 러시아 출신 음악가, 나아가 우리들이 처한 딜레마를 상징하는 듯하다. 소히예프는 3월 초 모스크바 볼쇼이 극장과 프랑스 툴루즈 시립관현악단의 수장직을 동시에 내려놓으면서 “친애하는 러시아와 프랑스 음악가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강요받았다”고 털어놨다. 아울러 그는 많은 음악가들이 ‘캔슬 컬처(Cancel Culture)’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면서, “조만간 차이콥스키, 스트라빈스키, 쇼스타코비치, 베토벤, 브람스, 드뷔시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요청을 받게 될 것”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실제로 공연계 일각에서는 러시아 작곡가의 음악을 배제하려는 듯한 움직임도 없지 않다. 독일 베를린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최근 공연에서 차이콥스키의 <슬라브 행진곡>을 <교향곡 제1번>으로 교체했고, 영국 카디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을 공연 프로그램에서 제외했다. 다만 두 곡 공히 러시아가 연관된 역사적 사건(전쟁)을 다룬 작품으로 현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두 악단을 포함한 대다수 오케스트라들은 올 시즌 프로그램에 포함된 러시아 음악을 예정대로 연주하기로 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차이콥스키나 라흐마니노프를 들을 수 없는 공연장은 아무래도 상상하기 어렵다. 그런데 게르기예프나 네트렙코에 대한 우리의 반응 내지 대응은 정당한 것일까? 글쎄, 돌이켜 보면 이번에 그들이 (우리 쪽의) 공분을 사게 된 이유는 그 태도가 그들의 예술 이면에 자리한 진의를 의심하게 만든 탓이다. 음악이 청중에게 전달될 때 연주가는 대개 작품이나 작곡가, 또는 청중의 내력이나 경험 뒤로 물러나거나 숨는다. 연주가는 자신을 내세우기보다는 작품과 작곡가, 청중을 위해서 봉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는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연주가도 사람인 이상 음악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투영하게 마련이고, 그것은 청중에게 탐지되거나 들켰을 때 비로소 호응이나 평가를 받게 된다. 그런데 만일 그것이 평화가 아니라 폭력을, 자유가 아니라 억압을 환기하거나 옹호하고 있다면 어떻겠는가? 그들이 연주한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이나 프로코피예프의 오페라는 대체 무슨 의미였는지,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 의심할 만하지 않겠는가? “음악은 음악일 뿐 정치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은 때로 허울이거나 방편에 불과하다.

    [황장원 음악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9호 (2022년 4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