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훈의 유럽인문여행! 예술가의 흔적을 찾아서] 발트해가 숨겨놓은 예술의 도시 라트비아 리가
입력 : 2022.03.10 15:33:34
-
독일 오페라의 거성인 리하르트 바그너, 영화 <전함 포템킨>의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 감독, 20세기 최고의 발레리노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등 라트비아와 인연을 맺은 예술가들은 많다. 우리에게도 가수 심수봉이 번안해서 불렀던 ‘백만 송이 장미’가 라트비아와 관련이 있다. 이 노래는 작곡가 라이온즈 파울스가 라트비아 민요를 바탕으로 만든 ‘마리냐가 준 소녀의 인생’이라는 원곡을 러시아 가수 알라 푸가초바가 불러 유명해졌다. 물론 원곡에 ‘백만 송이 장미’라는 가사는 없고, 주변 강대국에 휘둘리는 라트비아의 고난과 역경을 담고 있다. ‘백만 송이 장미’라는 로맨틱한 단어와 상관없이 슬픈 역사를 가진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는 1201년 독일 브레멘 출신의 알베르트 대주교가 십자군을 이끌고 들어오면서부터 시작됐다. 그는 리가를 상업상의 목적으로 결성된 한자동맹에 가입시켜 무역 도시로 성장시켰고,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를 통합하여 리보니아 공국을 건설하였다. 15세기 이후부터 리가는 ‘동유럽의 파리’, ‘구소련의 라스베이거스’ 등으로 불리며 유흥과 환락의 도시로 유명해졌고, 발트해 이웃 국가인 에스토니아와 리투아니아 사람들이 가난에서 벗어나려고 리가의 보드카 공장이나 담배 공장으로 돈을 벌러 왔을 정도로 도시의 규모가 커졌다.
붉은빛을 토해내는 돔 성당을 우측으로 끼고 구시가지로 좀 더 깊숙이 들어가자, 도시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높이 123m의 첨탑을 가진 성 피터 교회가 눈앞에 나타난다. 1209년에 건축된 교회와 첨탑은 그 당시 유럽에서 가장 높은 탑이었을 만큼 리가의 전성기를 상징하였다. 첨탑 꼭대기에 오르면 발아래로 다우가바강과 고색창연한 구시가지가 한 폭의 수채화처럼 펼쳐진다. 아마 이 도시에 사는 사람이라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첨탑 전망대에 올라 아름다운 풍경을 즐기거나 청운의 꿈을 꾸었을 것이다.
강물이 더 큰 바다로 흘러가듯이 자신의 꿈을 이 전망대에서 키운 사람이 바로 리가 출신의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이다. 1985년 <백야>와 1987년 <지젤> 등 몇 편의 영화로도 우리에게 친숙한 바리시니코프는 9세 때 발레를 시작했고, 16세 때 레닌그라드(현재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발레 학교에 입학하며 세계적인 발레리노로 발돋움했다. 1969년 청년 바리시니코프는 러시아 최고의 발레단 중 하나인 키로프발레단에 들어가 솔리스트로서 명성을 얻었고, 26세가 되던 1974년 자신의 미래를 위해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망명했다. 그 후 ‘뉴욕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의 수석 무용수로 활약하면서 세계적인 발레리노이자 배우로서 성공했고, 2017년 고향을 떠난 지 30여 년 만에 국적이 회복돼 리가에서 진행된 여러 프로젝트에도 참여했다. 최근에는 라트비아 국립오페라극장에서 <남자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작품으로 호평을 받았다.
<로엔그린> <탄호이저> <트리스탄과 이졸데> <니벨룽의 반지> 등으로 유명한 바그너는 사랑하는 아내 민나 플래너와 함께 1837년부터 1839년까지 리가에서 살았다. 이들은 1836년 11월 26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성대하게 결혼식을 올렸지만, 바그너의 사치와 많은 빚 때문에 독일을 떠나야만 했다. 바그너 부부가 선택한 여행지는 리가였고, 그때 마침 리가 독일극장으로부터 음악감독이자 관현악단 지휘자를 맡아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바그너가 처음 도착했을 때 이곳의 음악 수준은 그리 높지 않았다. 무엇보다 리가 독일극장은 오페라극장으로 사용하기엔 규모도 작았고, 고작 이탈리아나 독일 오페라단의 공연 몇 차례가 전부였다.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바그너는 모차르트, 베토벤, 로시니 등 5개의 오페라와 오케스트라 공연을 무대에 올리면서 리가를 발트해에서 가장 수준 높은 음악의 도시로 발전시켰고, 자신의 첫 번째 오페라인 <리엔치(Rienzi)>와 캐럴 <소나무야(Oh, Tannenbaum)>을 작곡하였다.영화 <백야> 포스터(1985년)
비록 바그너가 리가에 머물렀을 땐 국립오페라극장은 없었지만, 그의 음악적 열정과 자양분은 고스란히 남았다. 어쩌면 바그너가 리가에 남긴 예술에 대한 유산이 라이온즈 파울스, 예이젠시테인 감독,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등 세계적인 예술가가 나올 수 있게 된 문화예술의 근간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리가는 예술의 변방 도시가 아닌 발트해에서 가장 예술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이태훈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8호 (2022년 3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