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영의 영화로 보는 유럽사] (21) 냉전과 분열 그리고 통합의 시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1989년, 그 이후… 동독 사람들의 애환 그린 `굿바이 레닌`
입력 : 2021.09.30 15:42:42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연합국이 패전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단국가’라는 새로운 국가 형태가 나타났다. ‘분단국가’는 하나의 국가를 지향하지만 이데올로기의 대립에 의해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각각 다른 통치 기관이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한국과 독일, 베트남 등 이들 분단국가는 ‘냉전시대의 비극’이라 일컬어졌고, 독일을 제외한 한국과 베트남에서는 남북 간에 참혹한 전쟁을 치르기도 했다. 이들 세 나라 가운데 베트남은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남북이 통일되었고, 독일은 1990년 구동독(독일민주공화국)이 해체되면서 구서독(독일연방공화국)에 병합하는 형태로 독일의 재통일이 완성됐다.
볼프강 베커 감독의 <굿바이 레닌>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해인 1989년부터 통일이 이루어진 1990년까지 그 당시 통일 독일을 바라보는 동독 사람들의 미묘한 시선과 입장을 블랙 코미디로 풀어낸 영화이다. 2003년 베를린영화제 최우수 유럽영화상을 수상한 <굿바이 레닌>은 같은 분단의 경험을 가지고 있고 여전히 분단이 지속되고 있는 우리나라에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하지만 통일 이후 밀려든 자본주의 물결 앞에 동독의 제품은 대부분 사라져버렸기에 알렉스는 쓰레기통을 뒤져가며 동독 시절에 사용했던 식료품 통, 음료수 통 등을 찾아낸다. 급기야는 동독이 서독을 흡수한 것처럼 거짓 뉴스를 제작해 어머니에게 보여주기까지 한다. 영화는 이 시기에 박탈감을 느낀 동독 주민들을 보여주며 통일로 인해 이들이 겪은 상실감과 애환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영화 속에서 알렉스가 쓰레기통을 뒤지는 것을 보고 이웃 사람은 “서독 놈들이 우릴 모두 거지로 만들었다”며 허탈해 한다. 또한 이케아가구와 BMW, 코카콜라, 벤츠의 광고판 등 서독의 브랜드로 가득 찬 동독 거리가 비춰지고 동독 주민들이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었어요” “이젠 TV 발레 프로그램이 없어졌어요”라며 박탈감을 드러내는 장면이 다수 등장한다.
이처럼 동독의 붕괴와 함께 동독 제품들도 하루아침에 시장을 잃었다. 1990년 7월에 있었던 화폐통합으로 동독 주민은 서독 마르크화를 갖게 됐고 이 돈으로 그동안 열망했던 지멘스와 BMW, 벤츠 등 서독 제품을 구입했다. 시장에는 서독 제품들이 넘쳐났으며, 그러는 사이 동독 기업들은 도산하거나 서독 기업들에 팔렸다. 화폐통합으로 동독 기업들은 산업 경쟁력을 잃었고 동독지역의 실업률이 엄청나게 늘어났다.
하지만 더 어려운 문제는 그들 머릿속에 남아있는 장벽이었다. 그들 사이에는 ‘오시(Ossi·동독 놈)’와 ‘베시(Wessi·서독 놈)’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 늘 불평만 하는 동독인이라는 뜻의 ‘동독 투덜이들(Jammer-Ossi)’이라는 말과 ‘잘난 척하는 서독 놈(Besser-Wessi)’이라는 말은 사람들의 의식 속에 깊이 뿌리내렸다. 영화에서도 서독인인 알렉스의 매형이 “동독인들은 만족을 몰라, 늘 불평불만이지”라며 알렉스에게 짜증내는 장면이 나온다.
그러나 기자회견에서 귄터 샤보프스키 대변인이 ‘즉시’ 여행이 가능하다고 잘못 발표하고 그 내용을 동독 정부가 베를린 장벽을 즉시 철거한다고 잘못 알아들은 이탈리아 기자의 기사가 삽시간에 전 세계를 돌았고 수많은 군중이 베를린 장벽에 모여들었다. 어처구니없는 샤보프스키의 말실수와 언론의 오보, 군중심리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하룻밤 사이에 베를린 장벽이 붕괴된 것이다. 이를 시작으로 슈타지의 청사는 시민들의 습격으로 파괴당하는 등 동독 정부가 통제력을 상실해 하루 약 2000명의 동독 주민이 서쪽으로 넘어가는 사태가 발생했다.
예상치 못한 이러한 과정에 많은 독일 인접국은 두 차례나 세계대전을 일으켰던 독일을 경계하면서 독일 통일 논의를 서둘러 종결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1990년 3월, 동독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자유선거를 실시했고 신속한 통일을 원하는 동독 주민과 서독의 외교 노력으로 동독지역의 5개 주가 서독인 독일연방공화국에 가입하는 방식으로 급하게 통일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동독에 쏟아부은 투자가 헛되지는 않았다. 동독지역의 생활수준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기대 수명이나 주거, 교육, 의료 서비스와 같은 사회 지표와 각종 경제 지표에서 모든 수치가 개선됐다. 독일 통일 25주년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구서독인의 51%, 구동독인의 67%가 통일이 이익이 됐다고 답변했으며, 불이익이었다는 반응은 양쪽 모두 17%로 낮게 나왔다. 또한 갤럽이 미국, 유럽 연합, 독일, 러시아, 중국의 리더십을 진단하고자 전 세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지도력 평가에서 독일은 2017년 이래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모습은 구서독에서 구동독에 엄청난 자금을 쏟아부어 막대한 통일비용을 썼지만 재정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구동독인들이 느끼는 이러한 박탈감은 2015년 대규모 난민 수용 이후 극우당의 성장이라는 부정적인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독일 통일의 사례에서 보듯 통일문제를 다룸에 있어 경제적인 측면 못지않게 중요한 가치가 사회통합이다. 설령 제도적 통일을 이뤄 경제수준이 높아졌다 하더라도 남북 주민 간에 불신이 생기고 북쪽 출신 주민들의 소외감이 높아진다면 치유가 쉽지 않은 사회적 갈등을 낳을 우려가 있다. 더구나 한국은 독일과는 달리 6·25전쟁이란 엄청난 비극을 겪었기 때문에 남북 주민들 간에 증오가 남아 있기도 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한 집단들도 존재해왔다.
이렇게 볼 때 정치적이고 제도적인 통일도 중요하지만 절대 무시할 수 없는 가치가 남한과 북한지역의 사회적 통합이라고 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남북한이 평화롭게 공생하며 서로 윈윈하는 것이다. 통합은 ‘과정’이고 통일은 ‘결과물’이다.
‘이미영의 영화로 보는 유럽사’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이미영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3호 (2021년 10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