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차세대 폴더블폰인 갤럭시Z폴드3, Z플립3는 '혁신' 그 자체였다. 핸드폰을 아무리 접고 펴도 흠이 나지 않았고 최대 3개에 달하는 화면분할을 통해 여러 기능을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마음에 들었다. Z플립3를 쓸 때 핸드폰을 접은 상태에서 셀카를 찍을 수 있다는 것도 좋았다. 다만 세간의 우려처럼 Z폴드3를 펼친 상태에서 셀카를 찍을 때는 다소 화질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다. Z폴드3 화면분할을 사용하다가 이를 종료하고 싶을 때 하단의 탭을 활용해야만 끌 수 있는 것도 불편함으로 다가왔다.
갤럭시Z폴드3에 처음 적용된 S펜 프로의 모습이다. Z폴드용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S펜 오른쪽에 있는 스위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야 S펜을 사용할 수 있다.
S펜을 통해 갤린더앱을 Z폴드3 중앙에 접히는 부분까지 가져다 놓아봤다. 폴더블폰 중앙에 접히는 부분까지 S펜이 잘 인식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수차례 실험을 해봤는데 '잘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디지타이저(S펜 인식 역할)를 왼편과 오른편을 분리했고, 이를 연결해 S펜을 폴더블폰 전체에 적용할 수 있었다고 언팩 행사에서 설명했었다.
Z폴드3의 윗 화면에선 유튜버 음악영상이 나오고, 아래 화면에선 노트로 필기를 하는 장면이다. S펜 왼편에 있는 스위치를 on 하면 블르투스로 Z폴드3와 연결되는데, 그 후 아래 화면에 더블클릭할 경우 위와 같이 메모장이 생긴다. 영상을 시청하다가 간단히 메모할 때 사용하면 유용한 기능이다.
다만 Z폴드3의 아쉬운 점은 폰을 좌우로 펼친 상태에서 카메라 화소가 다소 낮게 느껴진다는 것이었다. 위 사진은 Z폴드3과 아이폰11의 셀카 화면을 비교한 사진이다. 약간 지글지글한 느낌이 들어서 사진을 찍을 때 선명한 느낌이 들지 못했다. (다만 Z폴드3를 좌우로 펼친 후 전면을 카메라로 찍거나 혹은 폴더블폰을 접은 후 카메라를 찍으면 보다 선명하게 사진이 찍혔다)
실제로 삼성전자도 카메라에 대해서 펼친 상태에서의 전면 카메라는 400만 화소로, 다른 카메라 화소(1000만~1200만)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Z폴드3의 화면분할은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기자가 속한 회사의 동영상(매부리tv), 인터넷(매경 공식사이트), 그리고 애플리케이션(매경앱)을 켜서 3분할 화면에 배치해봤다.
위 화면 오른쪽을 보면 '태스크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내가 주로 찾는 앱, 혹은 최근 검색한 앱이 오른쪽 태스크바에 몰려 있다. 거기에 있는 앱들을 왼쪽 화면에 드래그하면 위와 같이 3분할 화면을 만들 수 있다.
(방법은 설정에서 유용한 기능 → 실험실 → 즐겨찾는 앱 고정하기 활성화 → 엣지 패널을 열어 하단의 설정버튼 클릭 → 핀고정)
3분할 화면을 해보니 최근 써본 갤럭시탭 S7 FE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비록 지금은 급하게 써본지라 회사 앱을 켜봤지만, 왼쪽에 인터넷을 키고 메시지와 카톡을 오른쪽에 키면서 있으면 즉각즉각 소통하면서 서핑을 즐길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실험실' 기능을 통해 화면비율도 내가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하니깐 나만의 화면구성을 만들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음은 Z플립3을 체험한 후기다. 왼쪽 폰이 Z플립3이고, 오른쪽이 삼성갤럭시노트10+ 이다. Z플립3이 노트에 비해 살짝 더 길면서 슬림한 느낌이다. 화면을 보는데는 큰 지장이 없었다.
화면을 접고 셀카를 찍고 있는 모습이다. Z플립3은 폴더블폰을 펼치지 않고 접은 상태에서 셀피를 찍을 수 있는 '퀵샷'을 지원한다. 전원 버튼을 빠르게 두 번 눌러 카메라를 실행한 후 1.9형 커버 디스플레이를 뷰 파인더로 사용해 사용자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고화질 후면 카메라를 활용할 수 있다. Z플립3을 접힌 상태에서 보면, 음악 알람 음성녹음 타이머가 기본 기능을 탑재돼 있고 날씨 타이머 오늘의 일정 등을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 (위젯)
삼성전자가 '삼성 갤럭시 언팩 2021'을 통해 강조한 것은 '폴더블폰의 대중화'를 넘어서서 폴더블폰의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조금이나마 직접 써보니 Z플립3는 패션 아이템으로서 좋은 느낌이었고, Z폴드3는 태블릿PC와 기존 스마트폰의 장점을 모두 합친 느낌이었다. 삼성전자는 이번 언팩 행사에서도 기존 Z폴드2, Z플립 사용자들이 원하는 사항들 (S펜, 방수기능 등)을 피드백 받으면서 제품을 업그레이드 했다고 밝혔다. 아직 3세대에 지나지 않은 폴더블폰이 앞으로 5~10년 후에는 얼마만큼 발전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