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저가폰 뭐 사야 돼요, 무조건 싼 게 좋다? 배터리 용량 큰 게 좋다? 가성비는 삼성 A시리즈 가격만 보면 샤오미
입력 : 2021.05.04 17:21:03
-
삼성전자 ‘갤럭시A52’
중저가폰이 연일 쏟아지며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여전히 고민이 많다. 100만원에 가까운 프리미엄폰 대신 중저가폰을 구매하기로 마음먹긴 했는데, 어떤 포인트에 주안점을 두고 스마트폰을 구매해야할지 판단이 잘 서지 않아서다. 그래서 매일경제가 직접 ‘프리미엄급 성능’ ‘배터리’ ‘가격’ 등을 테마로 당신이 고르기 좋은 중저가폰을 꼽아봤다.
삼성전자 ‘갤럭시A42 5G’
갤럭시A52 5G 모델에는 프리미엄폰에 탑재되는 3대 고사양 기능이 모두 포함된 게 특징이다. 120㎐ 고주사율(초당 얼마나 많은 장면을 보여주는지 나타내는 단위), IP67(수심 1m에서 30초 동안 보호) 등급 방수·방진, 손떨림 방지(OIS) 등 3가지 기능이다. 특히 방수·방진 기능에 신경 썼다. 김상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엔지니어는 “일상생활에서 제일 많이 접하고 있는 IT 기기가 스마트폰이다. 화장실에 가든 샤워를 할 때든 언제든 소지하고 다니는 게 스마트폰”이라며 “방수·방진 기능은 기본 옵션이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굉장히 중요한 기능”이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6400만 화소의 메인카메라를 포함해 1200만 초광각, 500만 접사, 500만 심도까지 쿼드 카메라도 탑재됐다. 배터리용량도 4500mAh다.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는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750G를 채택했다. 삼성페이도 지원된다.
당장 올해 1월 출시한 프리미엄폰 갤럭시S21 기본 모델과 비교해보면, 갤럭시A52 5G의 프리미엄급 성능이 더욱 명확히 느껴진다. 갤럭시S21 모델은 방수·방진 기능이 IP68등급으로 조금 높은 수준이지만, 120㎐ 고주사율과 OIS 기능은 동일하다. 특히 갤럭시S21의 배터리 용량은 4000mAh로 갤럭시A52보다 500mAh가 더 적다. 특히 무선충전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거의 유일한 단점일 정도로 장점이 많다.
특히 가성비폰의 핵심이 다른 무엇보다 ‘배터리’라고 생각한다면 당장 갤럭시A42 모델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는 것이 좋다. 해당 모델의 배터리 용량은 5000mAh인데, 프리미엄폰 갤럭시S21 기본 모델보다 용량이 1000mAh 더 크다. 갤럭시S21 시리즈의 최상급 모델인 울트라 버전 배터리 용량이 바로 5000mAh다. 때문에 용량이 크고 그래픽이 화려한 고사양 게임을 자주 이용하지 않고, 메시지 전송과 웹서핑 등 기본 작동이 스마트폰의 주 사용 목적이라면 안성맞춤이다. 최근 갤럭시A42 모델 구매를 결정한 30대 직장인 민지훈 씨는 “카카오톡 이용하고, 네이버웹툰을 좀 보거나 스포츠 영상을 유튜브에서 보는 수준이다. 50만원 미만의 가격인데, 배터리가 갤럭시 프리미엄 최상급 수준이라고 해서 구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갤럭시A42 5G는 손떨림 방지 기능인 OIS를 지원하지 않는다. 무선충전도 마찬가지로 미지원이다. 게다가 디스플레이가 한 단계 아래 모델인 A32에 비해서 다소 처진다는 것은 아쉬운 포인트다. A32는 FHD+ 해상도와 90㎐의 주사율을 탑재한 반면 A42 5G는 HD+ 해상도와 60㎐ 주사율을 탑재했다.
애플 ‘아이폰SE 2세대’
아이폰SE 2세대는 그 밖에 크기와 무게, 홈버튼 존재와 같은 외관이나 전·후면 카메라 등의 하드웨어 스펙은 2017년 9월에 출시된 아이폰8과 동일하다. 후면 카메라는 1개에 불과하지만,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12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가격은 55만원이다. 4.7형 아이폰8 가격이 64만원임을 고려해볼 때, 아이폰11에 탑재된 AP가 적용된 모델인 아이폰SE 2세대 가격이 프리미엄폰보다 9만원이 더 싼 것이다.
아쉬운 점은 크기다. 최근 스마트폰들은 베젤을 최소화하고, 화면 사이즈를 키우는 게 기본으로 여겨진다. 아이폰12 화면 크기는 아이폰11과 동일하게 6.1인치였다. 하지만 아이폰SE 2세대는 화면도 4.7인치 수준으로 작은 데다 베젤(테두리)이 넓다.
샤오미 ‘홍미노트10’
하지만 지난해부터 샤오미 ‘백도어’ 문제 등이 거론되며 소비자들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지속되는 것은 면밀히 살펴봐야 할 이슈다. 지난해 미국 사이버보안 전문가 가비 설릭은 샤오미 스마트폰 ‘홍미노트8’에 대해 백도어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홍미노트8 사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와 인터넷 검색 기록, 앱 사용 기록 등을 수집해 싱가포르와 러시아에 있는 원격 서버로 전송한다는 것이다. 당시 샤오미는 해당 의혹을 부인했다.
가격에서 승부를 보는 최저가 모델 수준이지만, 믿음직스러운 국내 제조사 모델을 이용하고 싶다면 삼성전자 갤럭시A32가 적당하다. 갤럭시A32의 출고가는 37만4000원인데, 갤럭시A32에는 요금제에 따라 19만7000~32만5000원의 공시 지원금이 책정됐다. 다만 갤럭시A32는 LTE 모델이다.
무조건, 최대로 더 싼 거 없느냐고 외친다면 갤럭시M12 모델도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전파인증을 통과한 ‘갤럭시M12’를 알뜰폰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동통신사가 아닌 알뜰폰 업체를 통해 판매하는 것이다. 갤럭시M12는 지난 2019년 ‘갤럭시M20’ 이후 2년여 만에 국내에 출시하는 갤럭시 M시리즈다. 그동안 갤럭시 M시리즈는 인도와 브라질 등 신흥국에서만 출시돼왔다. 갤럭시M12의 출고가는 인도에서의 출고가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에서 먼저 출시된 갤럭시M12의 출고가는 4GB 모델이 1만999루피(약 16만원), 6GB 모델이 13499루피(약 20만원)다. 늦어도 5월 초에는 출시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 ‘갤럭시A32’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중저가폰 출시 릴레이와 함께 알뜰폰 요금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중저가폰 시리즈를 통신사를 끼지 않고, 자급제로 구매한 뒤 무약정 알뜰폰 요금제를 함께 사용하면 통신비를 최소화하는 ‘실속형 꿀조합’을 만들 수 있어서다.
알뜰폰 요금제는 LTE 요금제가 대세다. 월 3만3000원에 음성과 문자 무제한, 데이터 11GB(소진 시 일 2GB + 3Mbps 속도제어 무제한)가 제공되는 ‘사실상 무제한’ 요금제는 알뜰폰 업계 대표 요금제다. 전화통화도 많이 하고 데이터도 많이 사용하는 20~30대 사용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LG헬로비전은 월 8500원에 음성과 문자 무제한, 데이터 1.3GB가 제공되는 ‘착한 데이터’ 요금제도 있다. 전화를 주로 사용하는 직장인들이 ‘업무용’으로 따로 스마트폰을 하나 더 만들 경우 찾는 요금제다.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용하는 고객들을 위해 2만5000원대에 데이터 15GB, 음성 100분 문자 100건을 제공하는 보편 안심 요금제도 있다.
5G 요금제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10개 알뜰폰 사업자는 독자적으로 4만원대 30GB, 3만원대 12GB 이하 중·소량 구간의 다양한 요금제를 순차 출시할 예정이다. 가장 공격적으로 요금제를 출시한 곳은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서비스 리브모바일(Liiv M)이다. 최대 4만4000원에 30GB 데이터를 제공하는 5G 요금제(음성 300분, 문자 100건)를 5월에 내놓는다. 국민은행 계좌를 보유하거나 월급계좌를 등록하는 식으로 추가 할인을 받으면 월 3만9000원에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알뜰폰 전용카드를 사용해 월 30만원 실적을 충족하면 1만2000원의 청구 할인도 받을 수 있어 2만7000원에 30GB 데이터를 5G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10GB 이하 데이터 이용자들을 위한 ‘5G 알뜰폰’ 요금제도 알뜰폰 사업자들과 협의해 출시할 예정이다. 10GB 이하 데이터 구간에서 종량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3.5GB 데이터를 9000원대로, 1.5GB 데이터를 5000원대로 이용할 수 있는 5G 요금제가 가능해진다.
[홍성용 매일경제 디지털테크부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28호 (2021년 5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