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우의 명품 와인 이야기] 2001년산 최고의 보르도 와인, 샤토 오존
입력 : 2021.03.11 14:02:31
-
쌀이 부족하여 잡곡을 섞은 혼식과 밀가루로 만든 분식이 권장되던 어린 시절, 동남아시아의 따뜻한 나라들에서는 1년에 벼농사를 두 번이나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고 부러웠다. 쌀 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당시에는 농업의 부가가치 같은 개념들을 어린 나만큼이나 당시 어른들도 상상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골든퀸 3호와 같은 명품 쌀들을 마트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제 고급 농산물을 재배하는 것은 농부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와인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농부들은 좋은 와인을 만드는 데에 관심이 많지만 어떤 농부들은 낮은 품질의 와인을 많이 생산하는 데에 관심이 더 많다. 하지만 와인은 벼농사와 다르게 병당 1000만원짜리 와인이든 5000원짜리 와인이든 1년에 단 한 번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전 세계의 모든 와인 지역에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존재한다. 4계절 중에 단 하나도 농사에 중요하지 않은 계절이 없지만, 품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와인 농부들은 항상 가을이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수확 시기의 날씨가 와인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이야기이다. 와인을 수입하고 유통하는 내 입장에선 가을만큼이나 봄의 날씨도 중요하다. 바로 이때 와인 가격에 영향을 주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토 오존의 포도밭. 사진 이민우.
이런 경우 대부분의 농부들은 포도밭을 포기하고 다른 일에 전념한다. 운이 좋으면 환상적인 여름과 가을을 보내어 뛰어난 와인을 만들 수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박이 내린 해의 와인은 낮은 가격에 출시 되는 편이다. 하지만 이런 해에도 포도나무를 자식처럼 생각하고 전념을 다하는 농부들이 있다. 그리고 기적같이 좋은 와인이 만들어지는데, 이런 해를 ‘농부들의 해’라고 부른다. 자연이 아닌 농부가 만든 와인이라는 뜻이다. 가장 대표적인 해는 바로 2001년으로, 봄에 내린 우박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어떤 농부들은 역사상 최고의 와인을 만들었다.
필자와 샤토 오존의 후계자 폴린 보티에.
이웃 마을에 위치한 ‘샤토 라플뢰르’는 카베르네 프랑 묘목을 샤토 오존에서 가져왔다고 전해지며, 개러주 와인(Garage Wine)으로 시대를 풍미한 ‘샤토 발렁드로’ ‘샤토 그라시아’ 등의 와인들도 오존의 주인인 알랑 보티에의 영향을 받아 와인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알랑 보티에의 딸인 폴린은 나와 같은 지역 양조학교를 다녔는데, 그녀는 샤토들의 후계자들이 즐비한 학생들 사이에서도 가장 관심을 많이 받았다.
[이민우 와인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26호 (2021년 3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