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로 본 맞수열전 ⑥ 인천 연수구 vs 경기 김포시 | 규제 묶여 안정화에 접어든 연수구 vs 정비 후 비상을 준비하는 김포
입력 : 2020.07.29 10:38:03
-
‘규제에 따라 희비 엇갈린 인천 연수구 vs 경기 김포시’
정부의 6·17 부동산대책에 따라 투기과열지구 또는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된 지역과 규제를 빗겨간 지역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48개 시군구와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된 69개 지역은 청약요건, 재당첨제한, 전매제한, 대출기준 등이 바뀌며 일정 부분 발이 묶이게 되었다. 반대로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들은 호재를 만난 것처럼 시세가 요동치고 있다.
규제지역에서의 부작용도 나타났다. 당장 입주를 앞둔 상황에 대출이 막히면서 시장은 일대 혼란을 겪었고, ‘7·10 잔금대출 규제 경과조치 보완대책’과 같은 보완책이 마련됐다. 규제지역으로 지정·변경되기 이전에 입주자 모집을 공고한 경우에는 기존 조건을 유지한다는 내용이다. 정책은 하루아침에 시행 전과 시행 후로 나뉘기 때문에 연착륙 같은 개념이 없다. 어제까지는 되다가 오늘은 위법이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많은 ‘계획’들이 틀어지는 것이다. 당연히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렇게 부동산대책은 언제나 뜨거운 이슈가 되고, 손해를 보는 쪽과 이득을 얻는 쪽이 생기며, 반응이 즉각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매번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이유도 이권이 첨예하게 갈리는 문제다 보니 ‘모두가 공평하게 이득인 정책’은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규제 대상 지역으로 선정된 인천 연수구와 규제 대상 지역을 빗겨간 경기도 김포시를 대상으로 좀 더 디테일한 시장 분석을 해본다.
투기과열지구로 묶인 인천 연수구
인구가 가장 많은 송도3동(7만3327명, 연수구 인구의 20%)을 비롯하여 14개 행정동 가운데 4개에 해당하는 송도1~4동에 전체 인구의 45.2%가 밀집해 있다. 이에 따라 사회기반시설도 송도 지역에 편중된 특징이 나타나는데, 대형 유통점은 연수구 전체 18개 중에 13개(72.2%), 공공기관은 16개 중에 9개(56.3%), 버스정류장도 397개 중에 221개(55.7%)가 몰려 있다. 그 외 금융기관은 54개 중에 25개(46.3%), 교육기관은 278개 중에 121개(43.5%)가 분포하여 인구수 비중과 유사하며, 문화시설은 8개 중에 3개(37.5%), 병원은 364개 중에 133개(36.5%), 버스노선은 1072개 중에 352개(32.8%)가 지나가며 인구수 비중보다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연수구는 전체적으로 음식업 점포 수가 전체 40.8%, 소매업이 21.1%, 서비스업이 38.1%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출액으로는 34:33:33 정도의 균형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의료서비스와 학문/교육서비스의 점포 구성비가 전체 시장의 18% 이상(매출액으로는 23% 이상) 차지한다는 것은 기반시설로 분류할 수 있는 ‘교육, 의료’ 기능이 어느 정도 갖춰진 것을 의미한다.
김포시의 주요 사회기반 시설을 살펴보면, 아직 ‘조정’ 혹은 ‘정비’ 중인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체 인구 구성비에 비해 교통, 교육, 의료, 금융, 유통시설 등의 구성비가 조금씩 어긋나기 때문이다. 한 가지 예로 김포시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은 풍무동(6만373명, 김포시 전체 13.9%)이고, 2위는 장기동(5만8120명, 전체 13.4%)인데 장기동의 경우에는 대형 유통점(김포시 전체 30개 중 9개, 30%), 병원(전체 520개 중 93개, 17.9%), 교육시설(전체 492개 중 76개, 15.4%), 금융기관(전체 76개 중 12개, 15.8%) 등이 인구수 대비하여 밀집한 반면, 풍무동은 쇼핑, 공공, 교육, 금융기관 수가 인구수 비중에 비해서는 부족한 편이다.
또 구래동과 같이 최근 급격하게 성장한 지역은 인구가 2만9061명(전체 6.7%)인 데 비해 병원(13.5%), 교육시설(7.7%), 금융기관(10.5%)이 많은 반면, 대형 유통점(3.3%), 공공기관(2.4%), 버스노선 수(2.8%)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물론 이런 문제는 단순 수치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신도시 초창기에 어디에서나 나타나며, 향후 조정되어 간다는 측면에서 당장은 ‘완성형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부동산대책에 대해 언급한 내용과 같이 ‘대책수립’ 이전 단계에서는 ‘선정과 미선정 사이’의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며, 선정 이후에 나타날 긍정 혹은 부정적인 효과들이 예상되어야 한다. 또 가능한 디테일한 지역범위를 설정하여 효과를 극대화하되, 명확한 근거가 뒷받침되어야 모두가 수긍하는 정책이 된다. 향후 어떤 내용의 정책과 지역이 이슈가 될지 모르겠지만,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한 핀셋 분석이 필요한 이유다.
[박지훈 기자 주시태·김도훈 나이스지니데이타 연구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9호 (2020년 8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