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경영의 클래식 에세이] 베토벤 탄생 250주년, 그가 만든 음악 세상
입력 : 2020.07.07 10:54:09
-
베토벤에 대한 숭배는 대체로 추상적이다. 그의 음악을 처음부터 끝까지 들어봤거나 그의 음악이 주는 감동에 깊이 빠진 경험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들 그렇게 이야기하니까, 혹은 어려서 그리 배웠으니까 위대한 작곡가라고 말한다. 이미 그렇게 알고 있으니 그의 음악을 경험하는 일은 이미 정해진 답을 확인하는 작업에 불과하다. 그러니 그가 태어난 지 250년이 되는 올해에는 대체 베토벤이 왜 여전히 클래시컬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인지 한번 구체적으로 생각해봄 직도 하다.
혹은 그의 선율이 소름 돋도록 아름답거나 가슴을 훅 치고 들어와 잠시나마 할 일을 멈추게 하고, 시간이 흐른 후에도 문득문득 떠올라 나의 삶을 간섭하던가?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따지자면 숨 막히도록 아름다운 슈베르트의 선율이나 세련되면서도 들을 때마다 먹먹하게 만드는 라흐마니노프의 화성이 더하지 않던가.
그렇다면 뭘까? 베토벤을 위대하게 만드는 것, 수많은 작곡가들 중에서 그를 클래시컬 음악의 대표자로 서슴없이 선택하도록 하는 또 다른 이유는 뭘까? 빨리 말하자면, 우리가 여전히 그가 만들어 놓은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지금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클래시컬 음악계의 상식들은 원래 처음부터 그랬던 것이 아니라 베토벤이 만들어 놓은 것이다.
베토벤의 음악은 ‘산만한 청취’를 불가능하게 했다. 음악을 들으며 이야기를 하거나 밥을 먹거나 책을 읽을 수 없게 했다. 그러자 연주회장이 변했다. 서로 이야기하지 못하게 의자는 모두 정면을 향하게 되고 책을 읽을 수 없게 불을 끄게 된다. 음악회장에서는 열심히 음악만 듣게 하는 것이다. 그래야 이 음악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 수 있게 되니까. 음악은 그저 내 생활을 윤택하게 해주는 윤활유나 디저트, 벽지 같은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심각한 감상의 대상이 되는 것, 그 스스로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 예술작품의 지위를 비로소 얻게 된다. 그 위대한 인간의 성취 앞에 감히 아무 때나 박수를 치거나 기침을 해서 방해꾼이 돼서는 안 된다. 그 앞에서 침묵하며 겸손히 작곡가가 블록을 쌓아 놀라운 결과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지켜보는 증인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베토벤이 만들어 놓은 세계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음악 개념, 음악회의 매너, 음악에 대한 태도, 이것이 모두 베토벤과 그의 “따따따딴”이 만들어 놓은 것이다. 베토벤은 청중을 위해 음악을 작곡했다기보다는 자기 음악을 위해 청중을 바꾼 사람이다. 우리는 여전히 그가 만들어 놓은 세계 속에서 음악을 생각하고 느끼고 존중한다. 그는 여전히 살아있고, 음악을 듣는 우리와 늘 함께하고 있다. 그러니 베토벤은 음악 ‘운명’을 작곡했을 뿐 아니라 음악의 운명을 만든 사람이기도 하다. 여전히 베토벤이 클래시컬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인 이유다.
[음악학자 정경영]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8호 (2020년 7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