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태훈의 유럽인문여행! 예술가의 흔적을 찾아서 ⑬ 바로크 미술의 거장 화가 파울 루벤스를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만나다

    입력 : 2020.02.05 15:51:48

  •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서 북쪽으로 40㎞ 정도 달려가면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 파울 루벤스(1577~1640년)의 삶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안트베르펜에 이른다. 시대를 달리한 건축물들이 빨랫줄에 매달린 빨래처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곳의 첫인상은, 루벤스의 그럼처럼 우아하고 낭만적인 분위기가 연출된다. 유럽에서 네 번째로 큰 무역항이자 벨기에에서 브뤼셀 다음으로 큰 안트베르펜은 루벤스의 마르지 않는 예술적 영혼이 강물처럼 도시를 휘감는다.

    사실 우리나라와도 큰 인연을 맺고 있는 화가가 루벤스이다. 지난 1983년 11월 29일 런던 크리스티 드로잉 경매 사상 최고가격인 32만4000파운드(당시 약 3억8000만원)에 팔린 ‘한복을 입은 남자(LA 폴 게티 미술관 소장)’라는 작품이 바로 그가 그린 것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동양인은 조선 시대 무관 공복의 일종인 우리의 한복을 입고 있다. 어떤 이유로 조선인을 그렸는지에 대한 정확한 문헌적 배경은 알 수 없으나, 1600년부터 루벤스가 이탈리아에서 8년간 유학을 하는 동안 조선인을 만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안트베르펜은 빈센트 반 고흐와도 인연을 가진 도시로도 유명하다. 1885년부터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반 고흐는 이곳에서 일본 채색판화인 우키요에(浮世畵)에 관심을 두었고, 정식으로 미술 아카데미에 등록해 체계적인 미술 수업도 받았다. 하지만 그의 괴팍한 성격과 신경과민 증상이 나타나고, 그림 솜씨가 썩 좋지 않다는 이유로 3개월 만에 아카데미에서 퇴원 조치를 당한 후 파리로 떠났다.

    사진설명
    이처럼 거장들의 예술적 영혼이 머물러 있는 안트베르펜은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와 피렌체,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처럼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한 무역도시이다. 문헌에는 2세기 때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으며, 9세기부터 노르만인의 요새가 있었다. 13세기 들어서 브라반트 공작과 플랑드르 백작 등의 통치를 받으며, 이때부터 유럽에서 문화와 예술이 꽃피울 수 있는 배경을 마련했다. 15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럽에서 큰 위상을 차지하며 상업적으로 대성공을 거둔 안트베르펜은 1531년 유럽 최초로 주식거래소가 생겼으며, 유럽 최고의 무역항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유구한 역사 때문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된 안트베르펜은 도시 전체가 천장 없는 박물관을 연상케 할 만큼 르네상스 양식, 고딕 양식, 바로크 양식 등의 건축물들이 도시 분위기를 고풍스럽게 만든다. 이 중에서도 반 고흐가 열심히 루벤스의 작품을 모사했던 노트르담 대성당이 자연스럽게 눈에 들어온다. 높이 123m, 너비 117m의 대성당은 안트베르펜의 고난 역사와 함께한 곳이다. 성당이 완성되자마자 불이 나고, 1565년과 1581년에는 성상 파괴자들의 횡포에 의해 교회가 심하게 파손되었으며 1794년에는 프랑스 혁명 주동자들이 성당을 붕괴시키고 많은 가구와 미술품을 프랑스인들에게 팔았다고 한다.

    은은한 오르간 소리가 나지막이 울려 퍼지는 성당 내부로 들어서면 벨기에 7대 보물 중에 하나라고 평가받는 루벤스의 ‘십자가를 세움’과 ‘십자가에서 내려옴’이 눈앞을 가로막는다. 이 작품은 안트베르펜의 시장이자 길드 조합장이었던 니콜라스 로콕스의 요청으로 그려진 것으로, 프랑스 뤽상부르 궁전의 연작 벽화 ‘마리 드 메디치의 생애’라는 작품과 함께 바로크 회화의 최대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중에서 ‘십자가를 세움’은 원래 성 발부르카 교회를 위해 그린 것인데, 나폴레옹이 전리품으로 프랑스로 가져갔다. 그 후 프랑스로부터 다시 이 작품을 돌려받아 지금의 안트베르펜 대성당에 놓이게 되었다. 성당 안에는 이 작품들 이외에도 루벤스가 그린 ‘면직’, ‘거만’, ‘성모승천’ 등의 작품이 더 있다. 특히 중앙 돔 천장에 그려진 ‘성모승천’은 루벤스가 바로크 화가의 거장임을 잘 알려주는 듯하다.

    사진설명
    대성당에서 루벤스의 흔적을 조금 느꼈다면 이제부터는 창조적인 영혼과 뜨거운 열정이 집약된 그의 아틀리에이자 살림집이었던 ‘루벤스 하우스’에 갈 차례이다. 메이르 중심거리에 있는 루벤스의 아틀리에는 이 도시에서 가장 화려하면서도 귀족적인 건축물이다. 1610년대, 지인들은 그를 “세상에서 가장 교양 있는 궁정화가”라고 불렀다. 그리고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이면서도 유럽 전역의 왕궁을 오가며 외교관으로도 활약했던 인물이 바로 루벤스이다. 46세 때 그린 자화상이 새겨진 입장권을 내고 내부로 들어가면 제일 먼저 콧수염에 멋진 모자를 쓴 진품의 자화상을 만나게 된다. 경제적인 여유와 그림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그의 삶에서 자화상은 분명 호사스럽고 귀족적인 취향이 풍긴다. 부드러우면서도 그윽한 눈빛과 마주치는 순간 루벤스의 일생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간다.

    바로크의 천재 화가, 루벤스는 23세 때 고향을 등지고 이탈리아로 그림 유학을 갈 때만 해도 재능 있는 젊은 화가 정도로만 인식되었다. 하지만 그는 8년간 베네치아와 로마에 머물면서 고대미술과 르네상스 거장들의 작품과 화법을 배우고 익혀 서서히 명성을 얻기 시작하였다. 그 후 이탈리아 출신의 카라바조와 귀도 레니의 영향을 받아 바로크 화가로서 대성공을 거둔다. 1608년 그의 어머니가 위독하다는 소식을 듣고 안트베르펜으로 귀향했을 때, 그의 명성은 플랑드르 하늘을 찌를 듯이 높았다. 이런 명성을 등에 업고 1609년 플랑드르 총독 알브레호트 대공의 궁정화가가 되어 명실공히 플랑드르를 대표하는 화가가 되었다. 이때 32세의 루벤스는 인문학자 장 브란트의 딸, 이사벨라(18세)와 10월 3일에 결혼하여 부와 명예를 한꺼번에 쥐었다.

    사진설명
    전시장 내부에는 ‘천국에서의 아담과 이브’, ‘루벤스 부인의 초상화’, 루벤스가 길드의 조합장일 때 사용하던 의자 등을 비롯한 종교화와 풍경화를 볼 수 있다. 또한 그가 만든 조각이나 문갑 같은 서랍장에 그린 그림 등 다양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천국에서의 아담과 이브’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품이기 때문에 이 작품이 걸린 곳에는 항상 많은 사람으로 붐빈다. 아틀리에가 작은 미술관으로 바뀌었지만, 이곳 어디선가에서 붓을 들고 열심히 그림을 그리는 그의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진다. 멋진 모델을 앞에 두고 구도를 잡는 모습, 이사벨라 브란트 사이에서 낳은 3명의 아이와 즐겁게 지내고 있는 모습, 이사벨라가 죽은 지 4년이 지난 1630년 53세 나이로 16세의 소녀 엘렌 푸르망과 재혼하여 행복한 말년을 보내던 모습, 자신의 얼굴을 그리기 위해 거울을 몇 번씩 보는 모습 등 이곳에 걸린 그림 하나하나에서 그의 예술적 고뇌를 느낄 수 있다. 시간이 켜켜이 쌓인 그림에서 그의 삶과 열정을 생생하게 지켜볼 수 있다. 천천히 그림을 감상하고, 그가 사용했던 내부를 둘러보면 다른 미술관과 달리 루벤스의 손때가 묻은 아틀리에를 평생 기억하게 될 것이다. 1640년, 63세의 나이로 사망한 후 이 집은 건물 소유주가 여러 번 바뀌었다. 그래서 시에서는 그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 집을 다시 사들인 후 여러 차례 복구하여 오늘날에 이르게 됐다.

    유럽에서 인기 있는 도시는 아니지만, 안트베르펜은 루벤스로 인해 수많은 사람에게 사랑받는 도시임엔 틀림없다. 루벤스가 미술 역사에서 한 획을 긋는 한, 그를 좋아하는 수많은 사람은 이 도시를 찾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그의 희로애락이 담긴 아틀리에를 찾아와 그의 작품과 그의 생각을 공유할 것이다.

    [이태훈 칼럼니스트]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3호 (2020년 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