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걷기 프로젝트] 충남 예산 수덕사 둘레길 | 잠시 멈추고 마음 비우는 도량(道場), 1000년 정기 몸에 담아 한 해 마무리…
입력 : 2019.12.06 15:06:32
-
“우리나라 전국의 유명하다는 사찰을 가보면 저절로 알게 돼요. 그곳이 왜 유명한지를.”
뜬금없는 말에 왜 그런 거냐고 물었더니 한참이나 부연이 이어졌다.
“전 불자는 아니지만 계절이 바뀔 때면 좋은 산을 찾고 꼭 그 산에 자리한 사찰에 들릅니다.”
“불자도 아닌데 사찰에 꼭 가야할 이유가 뭡니까.”
“신기하게도 사찰은 산의 중심이에요. 산의 정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경치도 좋지만 사찰에서 둘러보는 산의 풍광은 그야말로 제철 맞은 음식 같아요.”
“어떤 음식이 그리도 좋던가요?”
“예를 들어 봄이면 사찰 내에 벚꽃이 만발합니다. 여름이면 산을 꽉 메운 녹음이 사찰 안으로 스며 들어와요. 처마 끝 어딘가, 아님 돌계단에 앉아 있으면 푸릇한 냄새가 납니다. 가을에는 말해 뭐하겠어요. 단풍 명소로 유명한 사찰이 많잖아요. 겨울이면 눈 쌓인 대웅전 뒤편에 빠알간 동백꽃 피어나요. 이러니 일부러 찾아가지 않는 게 이상한 일 아니겠어요?”
듣고 보니 일리가 있다. 십 수년간 중소 수입사를 운영해온 사장님의 논리인데, 사업이 잘될 땐 잘된다고, 안 될 땐 안 된다고 훌쩍 떠난 나름의 원칙이자 경영철학이다. 그의 말을 빌면 잘되면 교만해질까봐 안되면 절망할까봐 의도적으로 떠났고, 돌아와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일상을 살았다.
“떠날 때는 절대 혼자가지 않아요. 늘 가족과 같이 갑니다. 생각해보세요. 나만 잘되고 안 될 때가 있는 게 아니잖아요. 제가 그럴 땐 우리 집 꼬맹이도 그럴 수 있으니 같이 가서 리프레시해야죠. 좋은 데 가서 좋은 걸 보고 느끼고 먹고 마시는 데 안 풀릴 게 뭐 있겠어요. 그러려고 일하는 거고….”
갑자기 사찰에 가고 싶어졌다. 동장군 몰려오는 12월에 조금이라도 따뜻한 남쪽 어딘가에….
아차, 남쪽 어딘가를 바라며 떠난 길은 생각보다 험난했다. 12월호를 준비하기 위해 11월 중순경에 떠난 길은 고속도로나 국도 모두 어딜 가도 꽉 막혔다. 단풍 끝물을 즐기기 위한 자동차의 행렬에 간간이 일렬종대로 운행하는 관광버스 무리가 이어지며 가다 서다를 반복하고 있다. 사실 떠날 때 내심 마음에 둔 목적지는 목포였다. 목포항을 내려다보는 사찰에 마음을 옴팡 빼앗겼더랬다. 덤으로 최근 인기절정이라는 케이블카도 눈에 담아올 심산이었다. 하지만 절정으로 치닫는 단풍 앞에 간절한 바람은 바람처럼 사라졌다.
수덕사 내 둘레길
바위가 열리고 관음보살이 사라졌다는 관음바위
수덕사는 유난히 계단이 많다. 유난하다는 건 어쩌면 그만큼 넓다는 말의 다른 표현이다. 실제로 여타 사찰에 비해 높고 넓은데, 그래서 유독 계단이 많은 것처럼 느껴진다. 신기한건 한 계단 한 계단 오를수록 눈에 들어오는 풍경이 달라진다는 것. 특히 황하정루에서 금강보탑 방향으로 오르는 계단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시원하다. 시퍼런 하늘과 대비되는 하이얀 돌계단은 오르면 또 다른 세계가 열릴 것만 같은 묘한 기운을 품고 있다. 대웅전 서쪽 백련당 뒤편에는 전설을 간직한 관음바위가 있다. 바위가 갈라지며 관음보살이 사라졌고, 그 틈에서 버선 모양의 꽃이 피기 시작했다는 전설에 일부러 찾는 이들이 있을 만큼 유명한 곳이다. 지금도 봄이면 신기하게도 바로 그 바위틈에서 노란 꽃이 피어난다고 한다.
황하정루에서 금강보탑으로 오르는 계단
수덕사 입구의 관광거리
예당호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저수지(둘레 40㎞, 넓이 2㎞)이자 중부권 수자원 환경의 보고다. 전국 최고의 낚시 명소로 손꼽히는 이곳은 친환경 테마형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엔 출렁다리가 새로운 명소가 됐다. 402m에 이르는 국내 최장 출렁다리로 수면 위를 걷는 듯한 아찔한 추억을 선사한다.
·제10경 덕산온천
장시간 걷고 난 후 마무리는 역시 온천욕 아닐까. 수덕사와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한 덕산온천은 예산의 자랑 중 하나다. 이율곡의 <충보>에 “날개와 다리를 다친 학이 날아와 이곳에서 나는 물을 상처에 바르며 치료한 후 날아갔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물이 좋기로 유명한 곳이다. [글·사진 안재형 기자]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11호 (2019년 1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