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 `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코스닥 상장 추진
입력 : 2019.10.24 18:01:30
-
◆ 레이더 M ◆
왓챠는 KAIST 전산학과 학생이었던 박태훈 대표가 2011년 친구들과 합심해 창립했다. 이듬해 동영상 콘텐츠의 리뷰와 평점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왓챠)를 출범했고, 2016년 토종 OTT인 '왓챠플레이'를 선보였다. HBO와 디즈니, BBC 등 할리우드 상위 6대 메이저 배급사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에선 CJ E&M과 JTBC 등 60여 개 공급사와 계약을 맺었다.
왓챠플레이는 가입자 수를 약 570만명(올 6월 초 기준)까지 늘렸다. 2017년 초 가입자가 64만명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불과 2년 사이 고객 저변을 10배 가까이 늘린 셈이다. 유료 구독으로 전환한 후 그다음 달에도 구독하는 고객의 비율(구독잔존율) 역시 70%에 육박한다. OTT 업체들의 구독잔존율은 연평균 35~40%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경쟁사 대비 로열티 높은 고객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왓챠는 벤처캐피털 시장에서 일찌감치 존재감을 알렸다.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처음으로 투자한 벤처기업이었기 때문이다. 2012년 케이큐브벤처스(현 카카오벤처스)로부터 8억원 규모의 시드자금을 투자받았으며, 이후 세 차례에 걸쳐 총 202억원어치 시리즈 투자도 이끌어냈다. KDB산업은행을 비롯한 10여 곳의 벤처캐피털이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한 바 있다.
왓챠는 사업모델 기반 제도를 비롯한 특례상장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재무상태로는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워서다. 시장에서는 왓챠가 광폭적인 성장세를 이어간다면 1조원 수준의 몸값을 인정받을 것이란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와 기술보증기금은 지난 7월 왓챠를 비롯한 13곳의 기업을 '차세대 유니콘(1조원 이상의 기업가치가 점쳐지는 벤처기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강우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