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우의 어떤 생각] 돈의 위상

    입력 : 2016.10.12 15:10:45

  • 내 친척 어른 가운데는 국회의원을 해보겠다고 유력한 정치가들을 쫓아다니며 평생을 보낸 사람이 있다. 지금도 크게 달라진 것 같지 않지만 20~30년 전에는 더욱, 정계에 입문하기 위해서는 줄을 잘 서고 영향력 있는 정치 지도자의 눈에 들어야 했다. 사명감과 능력을 갖춘 사람이 아니라 어떻게든 정치 지도자의 눈에 들어 공천을 받아낸 사람이 국회의원이 되는 구조에서는 자신의 사명감과 능력을 키우는 데 시간을 쓰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고, 유력한 정치가를 쫓아다니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내 기억 속의 친척 어른이 그랬다. 그는 자기를 공천해 줄 정치가를 쫓아다니며 거의 평생을 다 바쳤다. 그가 바친 것은 시간과 돈이었다. 변변한 직업도 가져보지 못한 채 재산을 다 날렸다.

    선거를 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했고, 정치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자기가 거느린 그룹에 돈을 풀어줄 능력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던 시절이었다. 그러므로 국회의원이 되어보겠다는 정치지망생들과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기업들로부터 효과적으로 정치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정치 리더의 능력이었다. 대개는 자발적 헌금의 모양새를 갖췄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묵시적이거나 심지어 노골적인 압박에 굴복해 갖다 바친 경우가 상당했을 것이다.

    정치를 하기 위해서든, 정치에 입문하기 위해서든, 영향력 있는 정치인으로 군림하기 위해서든 돈이 필요했다는 이 이야기는 돈의 위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손색이 없다. 돈만 있고 권력은 없는 사람들이 권력을 가진 사람과 연을 만들고자 가지고 있는 돈을 쓰는 경우가 흔했는데, 가령 고시에 패스한 가난한 집 수재에게 딸을 시집보내는 졸부 이야기는 막장 드라마 작가가 고안해낸 허구가 아니다.

    가지고 있는 돈을 써서 자녀들을 군대에 보내지 않는 경우도 흔했다. 돈을 써서 공사를 따내고, 기업을 확장하고, 죄를 덮고 권력을 샀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돈이 얼마나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사례들을 열거하는 것은 아마 쓸데없는 수고일 것이다.

    그래도 정치가가 되겠다고, 혹은 사업의 이득을 보장받기 위해 돈을 싸들고 거물 정치인의 집 대문을 들락거리거나 권력을 얻으려고 가지고 있는 돈을 풀어 검사나 판사 사위를 얻는 졸부들 이야기는 돈이 제힘을 아직 덜 발휘하던 시절의 소박한 이야기처럼 내게는 느껴진다. 무슨 이야기냐고? 그 이야기들은 정치와 권력을 살 정도로 대단한 돈의 위력을 맨얼굴로 보여주지만, 동시에 필요하고 가치 있는 어떤 것을 얻기 위해 도구로 사용되는 돈의 수단적 성격을 표상하기도 한다. 정치나 명예가 더 중요하고 가치 있다는(돈보다 더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이 존재한다는) 생각이 오해인지 모르나, 그런 돈의 쓰임 속에는 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사진설명
    의인화해서 말하자면, 돈은 뭐든 살 수 있는 굉장한 힘이 자기에게 있다는 사실을 인식했고 그 힘을 마음껏 발휘했지만, 그러나 동시에 자기 가치의 상대적 열등함과 자기 존재의 본질, 즉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돈은 무언가 가치 있는 것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었고 그것으로 충분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달라졌다. 돈의 능력이 달라진 것이 아니다. 돈은 여전히 힘이 있고 힘이 더 세졌지만, 이전처럼 가치 있는 어떤 것을 얻기 위해 사용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들을 사용해서 얻어야 하는 것으로 진화했다. 위상이 달라졌다. 돈보다 더 가치 있는 것들은 이제 없어졌다. 이전에 돈을 사용해 얻으려고 했던 가치들을 수단화시키고 스스로 목적이 되었다. 이제는 무엇을 얻기 위해 돈을 쓰는 것이 아니라 돈을 얻기 위해 다른 것들을 쓴다. 한때 대통령이었던 분의 아들이 40억원의 벌금을 내지 않기 위해 교도소에서 노역을 한다는 뉴스를 접했을 때 달라진 돈의 위상에 대한 생각이 머리를 쳤다. 내가 아는 돈은 징역을 피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었다. 그런데 돈을 지키기 위해 징역을 택한다지 않는가.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 고액의 벌금을 내지 않기 위해 일당 400만원짜리 노역을 감당하고 있는 사람이 전국에 400명 이상 있다고 한다. 물론 그 가운데는 정말로 돈이 없어서 교도소에 들어가 노역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숫자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라는 게 보통 사람들의 짐작이다. 10억원을 주면 교도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젊은이들이 많다는 보도를 우리는 이미 접했다. 말하자면 이제 돈은 권력이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수단으로 해서 얻어야 할 최고의 가치가 되었다. 돈을 벌거나 지키기 위해서라면 어떤 수치도 감당할 수 있고 어떤 불명예도 상관없다는 풍조가 널리 퍼져가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는 아직 의사와 변호사가 좋은 직업으로 대접 받지만, 그것은 그들이 훌륭한 일을 하고 의미 있는 기여를 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저 돈을 많이 벌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이 여전히 존경을 받는다면, 그 존경은 그들이 하는 (의미 있는) 일이 아니라 그들이 벌어들인 (굉장한) 돈을 향한 것이다.

    돈은 숭배와 사랑의 대상이 되었다. 오늘날의 사람들은 돈을 좋아하는 단계를 넘어 숭배하고 사랑한다. 좋아하는 대상은 수단일 뿐이지만, 사랑하는 대상은 목적이고 목적이어야 한다. 가령 우리는 소고기를 좋아할 수 있지만 사랑할 수는 없다. 보신탕을 먹는 사람은 개(고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반려견과 같이 사는 사람은 개를 사랑한다. 돈은 좋아할 대상이지 사랑할 대상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제 돈은 좋아할 대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사랑의 대상이 되었다.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 되었다. 유일한 가치가 되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말세의 징조에 대해 말하면서 사람들이 돈을 사랑하게 된다는 항목을 넣었다. 우리가 그런 세상 속에 살고 있다. 나는 이런 세상과 이런 우리가 무섭다. 그냥 좋아하기만 했으면 좋겠다.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73호 (2016년 10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일경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