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변신한 서점, 리뉴얼한 교보문고 광화문점 가보니…‘오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탈바꿈
입력 : 2016.04.05 10:52:28
-
학창시절 대형서점을 떠올리면 누구나 공감하는 기억이 있다. 한 곳에 오래 서서 책을 읽거나, 책을 베끼거나 이것저것 빼보기만 하고 사지 않아서 직원의 눈총을 받은 경험이다. 서점은 책을 파는 곳이라는 생각에 사지도 않을 책을 읽는 게 늘 불편했다. 최근 서점가에 변화가 일고 있다. 서점이 도서관이나 카페처럼 마음껏 책을 읽고 휴식을 즐기는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대형서점의 원조이자 상징격인 교보문고 광화문 본점이 달라졌다. 최근 3개월간의 공사를 마치고 재개관한 교보문고 광화문점은 서점 안에 도서관과 갤러리, 카페 등이 들어온 듯 낯설고 새롭다. 지하 1층 입구에 들어서면 넓은 통로와 한층 낮아진 서가가 책들이 빽빽이 들어차 있던 이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실제 이번 리뉴얼로 서가 높이를 70㎝가량 낮추고 서가 간의 간격도 30㎝ 늘렸다고 한다. 쾌적하고 시야가 편안하다고 느껴지는 데는 조명도 한몫한다. 자연광과 유사하도록 조명의 조도를 개선하고 포인트 조명으로 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인 것. 또 곳곳에 놓인 화초가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내고 있다.
진영균 교보문고 브랜드관리팀 대리는 “‘오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서점을 선보이는 게 이번 리뉴얼의 핵심”이라면서 이에 “독자들이 쉬면서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좌석을 400여 석으로 4배가량 늘렸고, 책과 관련된 미술전시를 상시 개최하는 서점 속 갤러리를 도입한 게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전했다.
실제 교보문고 광화문점에는 한번에 100명이 앉아서 독서할 수 있는 초대형 독서 테이블도 있다. 이 독서 테이블은 무려 연식이 5만년이나 되는 뉴질랜드산 카오리 소나무로 만들어졌다. 5만년이면 인류 조상 호모 사피엔스가 출현했던 시기다. 원래 뉴질랜드 카오리 소나무는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하며 수천년까지 자라는데, 이번에 테이블로 만들어진 소나무는 5만년 전 자연재해로 인해 늪지대에 묻혀 있다가 지난해 7월에 채굴된 것. 늪지대에서 산소와 접촉이 차단되어 수만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주말이나 평일 오후가 되면 호모 사피엔스와 동시대에 있었던 나무로 만든 테이블에서 많은 사람들이 한데 모여 책을 읽는 장관이 연출된다. 카오리 테이블 말고도 서가 곳곳에는 1인 또는 여러 사람들이 휴식과 독서를 즐길 수 있는 가죽 소파가 놓여 있다. 광화문점은 서점이지만 고객들이 도서관마냥 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조명도 자연광으로 바꿨다. 리뉴얼 오픈 두 달 남짓 된 지금 방문객 수는 현저하게 늘었다.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처럼 상담
이곳의 색다른 점은 컨시어지 서비스에도 있다. ‘컨시어지(Concierge)’는 호텔을 방문한 고객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제공하는 서비스나 사람을 말한다. 교보문고 광화문점에는 영업장 곳곳에 컨시어지들이 상주해 있고, 그들과 상담을 원하는 고객들은 호텔처럼 편안하게 앉아서 원하는 사항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른바 북 컨시어지들은 도서를 찾아주는 단순 서비스에서부터 도서 상담 및 추천, 개인별 맞춤형 검색 등 전문 도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람들이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서점 안에서 구현하고 있는 광화문점은 독서와 휴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힐링 공간 배치와 호텔식 북 컨시어지 서비스와 함께 고급문화를 접할 수 있는 갤러리도 운영한다. 서점 안에 새롭게 문을 연 ‘교보아트스페이스’에서는 미술전시를 위한 전용 공간이다. 허정도 교보문고 대표이사는 리뉴얼 오픈식에서 “동양에선 예로부터 ‘글씨와 그림의 근원은 같다’라는 의미로서 ‘서화동원(書畵同源)’이란 말을 즐겨 사용해왔다. 즉, 문학과 미술, 책과 그림은 넓게 보면 뿌리가 같은 시각예술로 볼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번 ‘교보아트스페이스’ 개관으로 교보문고에서 책과 함께 다양한 시각예술 콘텐츠까지 경험하는 정신적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큐레이션 기능 강화와 푸드 공간 변화는 과제
리뉴얼 오픈 후 방문객 수는 크게 증가했으며 고객들 반응은 대부분 호평이다.
만년필과 커스텀주얼리를 판매하는 매장 그리고 문구류나 각종 생활용품을 판매하는 브랜드 숍이 들어서 있는 것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옷이나 액세서리를 취급하는 패션에 국한되어 있던 라이프스타일 숍 개념을 서점에 적용해서 고객의 편의성을 높여서다. 하지만 서적 등 물건과 서비스 과잉공급 시대에 소비자들에게 보다 참신하고 편리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큐레이션 기능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책 대신 취향을 팔다 일본 츠타야 서점의 놀라운 성공일본 하코다테 츠타야 서점
[김지미 기자 사진 정기택 기자]
[본 기사는 매일경제 Luxmen 제66호(2016년 03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