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나 평가원 모의평가의 문항 유형은 몇 년간 변화 없이 출제되고 있으며,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유형 또한 큰 변화가 없다. 불변의 고난도 유형으로는 어법·어휘, 빈칸 추론, 간접 쓰기 등이 있으며 1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필수로 해당 유형을 학습해야 한다. 이번 시간에는 어법·어휘 문항의 출제 트렌드를 분석해 보고 정답률을 높이는 법을 알아보자.
◆ 평가원 어법 문항의 핵심 포인트와 학습법
어법·어휘 유형 중 어법 문항의 핵심은 '문장 구조의 이해'다. 최근 평가원 시험에서 어법 문항은 밑줄 어법 문제로, 선택지(①~⑤)를 통해 다양한 문법 요소를 묻는다. 중학교 교육과정부터 배워온 다양한 문법 요소를 묻지만, 정답 포인트는 주로 문장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지 여부였다. 다음은 최근 4개년 어법 문항의 정답 선택지다.
위의 표를 통해 분석해 보면 평가원은 정답의 요소로 동사나 준동사에 밑줄을 그어 그 단어가 문장의 동사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하거나, 명사(구)에 밑줄을 그어 문장의 주어인지 아닌지 판단하게 하거나, 관계사에 밑줄을 그어 관계대명사인지 관계부사인지를 판단하게 했음을 알 수 있다. 문장을 해석하며 핵심 골자를 파악했는지를 물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평가원 어법 문항에서 애매하고 지엽적인 문법 요소가 정답인 확률은 매우 낮다. 평가원은 학생들이 문장 내에서 주어와 동사를 파악할 수 있는지, 문장을 해석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여긴다. 지엽적인 문법 지식을 묻는 대신 문장의 핵심을 파악했는지를 묻기 때문에 문장에서 핵심을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그간 배운 문법 지식을 모두 복습하려고 하기보다는 독해할 때마다 주어와 동사를 찾는 연습을 해야 한다.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문장이 길어질수록 문장의 핵심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 평가원 어휘 문항의 핵심 포인트와 학습법
평가원 어휘 문항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은 어휘력 부족을 문제로 꼽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문맥 파악, 더 나아가 글의 주제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평가원 어휘 문항은 네모 어휘 문제와 밑줄 어휘 문제 두 가지 유형으로 출제되는데, 최근 평가원 어휘 문항은 대부분 밑줄 어휘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이 유형은 밑줄 친 어휘의 '반의어'가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글을 읽어야 하는데, 문맥상 적절하지 않은 단어로 '반의어'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밑줄 친 어휘의 '반의어'를 판별해야 풀 수 있는 문제이므로 글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밑줄 친 어휘가 포함된 문장과 전후 문장을 잘 이해해야 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핵심이다. 따라서 밑줄 어휘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문맥을 통해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다. 다음 '2022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30번 어휘' 문항을 풀어 보자.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의 도입부(It has been~many major crops)에서 '유기농법이 주요 작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키고 생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글의 주제를 파악해야 한다. 그 후 이러한 주제와 어긋나는 부분을 찾으면 정답을 찾을 수 있다. ③의 benefits는 '친환경 거름' 작물로서 거름이나 콩과 식물의 광범위한 사용의 '이점'이 있다는 흐름이므로, 글의 주제와 반대 흐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③의 benefits는 constraints와 같은 단어로 바꿔야 한다. 이처럼 평가원 밑줄 어휘 문제를 해결할 때는 글의 도입부를 통해 주제를 파악하고, 이 주제와 반대되는 흐름을 만드는 단어를 찾아야 한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어법·어휘 유형이 약점인 학생들은 평가원의 트렌드를 익히고 문제를 풀 때 적용해 봐야 한다. 어법·어휘 유형은 그 핵심을 이해한다면 점수를 빠르게 올릴 수 있고, 영어 1등급을 위해 필수적으로 맞춰야 하는 유형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법·어휘 유형으로 평가원의 핵심 기조를 살펴보긴 했지만, 문장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모든 유형에 적용되는 기본이다. 이를 되새기며 모의고사를 풀어본다면 어법·어휘 유형의 정답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약점으로 여기는 유형을 해결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