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장기화에 다시 관심 받는 비대면 여행지… 감추사, 장사도해상공원, 수안보 족욕길, 황간역, 박수기정…
입력 : 2022.02.08 15:26:17
-
오미크론 변이란 복병의 등장으로 지난해 연말 코로나19가 종식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온데간데없어져 버렸다. 게다가 코로나19 발발 초기보다 더 강력한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신년 사회적 분위기 또한 갑갑하기 짝이 없다. 해외여행은 언감생심, 그렇다고 국내도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없다. 답답해도 모두의 안전을 위해 스스로의 자중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떠나고 싶다면 비대면 여행지로 눈을 돌려보자. 코로나19 장기화로 안전한 여행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다시 강해지면서 새로운 비대면 여행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때마침 한국관광공사는 최근 사회적 분위기에 맞춰 비대면 안심 여행지를 업데이트해 소개하고 있다. 매경럭스멘이 이 중 반드시 가볼 만한 곳들을 추려봤다.
인천 강화군 동검도
하지만 겨울 갯벌의 단점은 꽤 춥다는 점이다. 이럴 때 시간을 벗 삼아 기다려보자. 이곳에서 보는 일몰이 장관이다. 최근에는 차박으로 이곳을 찾는 이들이 꽤 많다. 이곳에서 하루를 묵는 이들이라면 일출을 보는 것도 좋다. 일몰 못지않게 일출 또한 장관이다. 동검도에는 이색적으로 예술영화만 상영하는 예술극장이 있다. 황산도에는 1.2㎞의 데크가 설치돼 있어 갯벌 위를 거닐며 산책을 할 수 있다.
공원 일대를 두르는 2㎞의 산책길이 백미다. 소나무, 왕벚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왕버들, 선버들 등이 우거져 있다. 연밭 위를 지나는 목재 데크, 철새조망대 등 주위를 걷고 감상할 수 있는 인프라도 잘 구비돼 있어 오롯이 나만의 시간을 갖기에도 좋다.
경기 광주시 경안천습지생태공원
강원도 동해시 감추사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의 전설이 전해진다. 병에 걸린 공주가 이곳 동굴에서 불상을 모시고 3년 동안 정성껏 기도해서 나았다고 하는데, 절의 창건 배경이기도 하다. 공주가 부처님의 은덕에 감사해 이곳에 절을 지었다는 것이다.
창건 당시의 절터는 현재 찾을 수 없는 상태지만, 선화공주가 기도를 올렸다고 하는 동굴은 남아 있다. 절은 관음전과 삼성각, 용왕각, 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불교 태고종에 속한다.
충북 충주시 수안보 족욕길
수안보 족욕길은 2018년 수안보면 온천리 석문천변 일원에 360m 규모로 만들어졌다. 판석을 깔아 걷기 좋은 마운틴탕, 연인을 위한 커플탕, 지압과 마사지 기능이 있는 족욕탕 등 6개의 테마로 구성돼 있다. 오색 조명으로 꾸민 족욕길은 밤 온천의 풍미를 더한다. 수안보 온천수는 지하 250m서 끌어오는데, 약알칼리성이다.
충북 영동군 황간역
역사 내부터 광장까지, 이곳을 들르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간 것 같다. 역사는 낡은 소파, 구멍 뚫린 매표소 등 옛 대합실 풍경이 고스란히 재현돼 있다. 역사 2층에 마련된 무인카페의 이름은 ‘황간 마실’이다. 역 광장에는 고향을 주제로 한 시와 그림이 새겨진 전통옹기가 옹기종기 모여 있다. 땅따먹기, 사방치기 등 어렸을 적 한 번쯤은 해봤을 전통놀이판들도 그려져 있다.
굳이 기차를 타지 않더라도 추억에 빠지고 싶은 이들이 황간역을 찾고 있다.
대구 중구 북성로
북성로는 대구 최초의 신작로로, 지역에서 가장 먼저 번화했던 곳이다. 하지만 6·25 전쟁 등을 거치면서 이곳은 공구골목으로 변모했고, 이후 세월과 함께 쇠락한 모습으로 변해갔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것이 반전의 계기를 제공했다. 낡은 골목, 좁은 가게 등 빈티지 감성에 빠진 젊은이들이 하나둘씩 이곳으로 모여들며 개성 넘치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빈 가게들은 젊은 예술가들로 채워졌고, 특색 있는 카페들도 하나둘씩 생겨났다. 사진으로 개성을 표현하기 좋아하는 요즘 세대의 감성에 딱 맞아, 이곳은 인스타그램의 성지로도 불린다.
북성로에서 빼먹지 말고 들러야 할 곳이 있다. 북성로 기술예술융합소 모루다. 모루란 대장간에서 쇠를 두드릴 때 쓰는 받침대를 말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북성로의 역사가 담겨 있는 곳이다.
경북 칠곡군 송림사
신라 진흥왕 때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워졌다. 고려시대 몽고군의 침입, 조선시대 일본의 침략 등으로 2번이나 소실됐고, 현재 절의 모습은 숙종 때 중창됐다. 이곳에는 현존하는 전탑 중 가장 세련된 것으로 꼽히는 송림사 오층전탑이 자리 잡고 있다. 탑은 보물로 지정돼 있다. 문외한이 봐도 탑의 아름다움을 한눈에 느낄 수 있다. 1959년 탑을 해체해 복원할 때 사리구가 담긴 거북형 석합이 발견되었다. 대웅전도 보물로 지정돼 있는데, 현판은 숙종의 친필이라고 한다.
경북 칠곡군 송림사
경남 통영시 장사도해상공원
장사도 공원의 특징은 인공미를 최대한 배제해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에 섬 곳곳에 오랜 세월 동안 형성된 자연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섬에는 1000여 종의 식물과 천연기념물 팔색조가 산다.
겨울철 장사도의 백미는 섬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동백꽃이다. 10만여 그루의 동백꽃이 겨울의 섬 정치를 생동감 있게 만든다. 섬에 들어서면 동백꽃을 상징화한 카멜리아 간판이 여행객들을 맞이한다. 10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야외공연장이 있다.
전남 강진군 다산초당에서 백련사 가는 길
백련사 동백꽃이 유명해진 것은 다산 정약용 선생과 연관이 있다. 유배지인 다산초당에서 지내던 정약용은 인근에 있는 백련사에 갔다가 우연히 혜장 스님을 만났다. 나이는 어리지만 학식이 높았던 혜장 스님과 정약용은 금세 말이 통했고, 두 사람은 그때부터 친구가 됐다. 정약용은 차와 불교에 대해 혜장 스님은 유학에 대해 배웠다고 한다. 다산초당은 원래 작은 초가집이었지만 1957년 기와집으로 다시 지어졌다. 다산은 이곳에서 <목민심서> 등 500여 권의 책을 저술했다. 다산초당에서 백련사 가는 길은 ‘제10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상을 받았다.제주 서귀포시 박수기정 & 대평포구
박수기정을 잘 보려면 대평포구가 제격이다. 박수기정의 웅장한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박수기정 일대는 제주도에서도 일몰이 아름다운 곳이다. 박수기정 위에서 직접 일몰을 봐도 되고, 대평포구에서 박수기정과 일몰을 한눈에 담아도 좋다. 방파제 위에 세워진 빨간소녀 등대가 이국적 풍경을 자아낸다.
박수기정이란 이름은 샘물을 뜻하는 박수와 절벽을 뜻하는 기정이 합쳐진 말이다. ‘바가지로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샘물이 솟아나는 절벽’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실제 절벽 아래 해식동굴에서는 물이 흐른다고 한다. 박수기정 윗길은 제주 올레길 9코스와 같아, 트레킹 코스로도 제격이다. 화창한 날 박수기정에 서면 마라도, 가파도까지 보인다.
[문수인 기자 사진 한국관광공사]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7호 (2022년 2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