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민우의 명품 와인 이야기] 샤토 마고의 섬세함을 칠레에서 구현한 ‘아키타니아 라줄리’
입력 : 2021.10.06 17:23:17
-
세계적인 와인 메이커 중에는 양조 실력은 뛰어나지만, 예술가적인 세심한 감수성 때문인지 사회성이 부족한 사람들이 있다. 1976년 파리의 심판으로 유명한 마이크 거기쉬는 전설적인 양조가 중 하나다. 그러나 자신의 와이너리를 설립하기 전까지는 같이 일했던 사람들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프랑스 부르고뉴의 크리스토 페로-미노, 샤토 하이야스의 에마뉘엘 헤이노는 모두 세계 최고의 양조가들이지만 성격이 독특하기로 유명한 사람들이다. 대체할 수 없을 만큼의 뛰어난 품질이 아니었다면, 와인을 팔기 쉽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반면 양조 실력보다 뛰어난 친화력으로 유명한 와인 메이커들도 있다. 이런 와인 메이커들은 대게 사업적인 수완이 뛰어난 영업형 와인 메이커들이다. 대표적으로 나파 와인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로버트 몬다비, 보졸레 누보를 전 세계에 알린 조르주 뒤뵈프 같은 인물들이 있다.
“여러분, 조용히 냄새를 맡아보세요. 혹시 이 방에서 오크 냄새가 나고 있나요? 오크통이 가득 찬 방이지만 오크 냄새가 전혀 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그 안에 있는 와인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해의 샤토 마고는 바로 아시아 사람들과 같은 와인입니다. 겉으로는 약해보이지만, 속은 강하고 꽉 찬 바로 그런 와인입니다.”
나는 수없이 전 세계의 오크통 저장고를 드나들었지만, 한 번도 향기에 대해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정말 오크통으로 가득 찬 방에서 오크향이 나지 않았다. 이후 우리 중에 어느 누구도 2013년산 보르도 와인에 대해 불평하지 않았다.
프랑스 명품 와인업계의 핵심인물들이 설립한 비냐 아키타니아는 초기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 보르도 양조가들이 주도하여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에는 화이트 와인들이 전문가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냐 아키타니아의 솔 데 솔은, 영국 가디언지의 와인 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윌리엄스에 의해 칠레 최고의 화이트 와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비냐 아키타니아의 대표 와인은 아키타니아 라줄리(Aquitania Lazuli)라는 레드 와인이다. 라줄리라는 이름은 칠레를 원산지로 하는 보석인 청금석, 라피스 라줄리에서 나왔다.
[이민우]
[본 기사는 매경LUXMEN 제133호 (2021년 10월)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